1/35[인민망 한국어판 12월 12일] 세계 약 200개 국가와 지역에 흩어져 사는 6000만 명이 넘는 해외 교포들은 중국 개혁개방 사업의 개척자, 참여자, 공헌자다. 개혁개방 초기, 수많은 해외 교포들이 경제특구와 연해 땅에 적극 투자해 중국의 대외개방, 외자도입의 서막을 열었다. 40년간 해외 교포들은 중국에서 혁신과 창업을 통해 중국의 자체 혁신력을 한층 향상시켰다. 급속한 개혁개방 과정 속에서 국내외 안팎으로 중국인들은 시종일관 시대와 더불어 발전하며,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인 중국꿈에 크게 기여했다. 1983년 1월 2일, 전국 귀국 교포와 본지 가족 및 해당 업무 관련자와 선진단체 및 개인 표창대회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성대하게 열렸다. [촬영: 중국신문사 정루이더(鄭瑞德) 기자]/원문 출처: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번역: 조미경
2/351983년, 광둥(廣東) 선전(深圳) 광밍(光明)화교전자업체[강자(康佳)그룹 전신] 생산현장 조립라인. 강자그룹은 중국 개혁개방 이후의 첫 중외 합자 전자기업이다. [촬영: 중국신문사 왕파탕(王發瑭) 기자]
3/351983년, 광둥(廣東) 장먼(江門)시가 정부 차원에서 건설한 해외교포 주거지, 건축 면적이 1만 2300평방미터로 귀국 교포, 본지 가족 및 홍콩, 마카오 동포 가족들이 입주해 있다. [촬영: 중국신문사 황융자오(黃永照) 기자]
4/351986년 9월 29일, 800여 명의 홍콩, 마카오 동포와 해외 교포와 본지 가족들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국경절을 함께 축하했다. [촬영: 중국신문사 자궈룽(賈國榮) 기자]
5/351986년 12월, 중국 ‘화교촬영학회’가 베이징에 설립되었다. [촬영: 중국신문사 양줘헝(楊佐恒) 기자]
6/3580년대 중반, 귀국 교포들이 광둥(廣東)성 교민 업무처에서 교민 주택 입주 절차를 밟고 있다. [사진 출처: 중국신문사/촬영: 중신(鐘欣)]
7/351989년 중국화교관광교포외환서비스총공사(中國華僑旅遊僑匯服務總公司) 영업부, 화교와 교민 및 홍콩, 마카오 동포 가족들은 이 곳에서 외환권으로 물건을 구매한다. 교포 외환은 교포들이 국내 가족 부양을 위해 송금하는 돈으로 당시 중요한 외환 출처 중 하나였다. [촬영: 중국신문사 양줘헝(楊佐恒) 기자]
8/35푸젠(福建)에 세워진 화교대학은 1960년에 설립되었다. 이 학교는 중국어, 영어, 코딩어 ‘3개 언어’ 학습에 치중한다. 사진은 90년대 초 학교를 다니던 학생들 모습이다. [촬영: 중국신문사 정줘성(鄭祚聲) 기자]
9/351997년 베이징 화교언어학교에서 열린 문화공연 행사 중 화교 자녀들이 함께 ‘대중국(大中國)’ 노래를 부르며 홍콩 반환을 경축했다. [촬영: 중국신문사 훠하이주(霍海珠) 기자]
10/351998년, 광둥(廣東) 화교박물관 지붕이 완공됐다. [촬영: 중국신문사 량융창(梁永強) 기자]
11/351999년, 중국 최초의 시가지 단일 궤도 열차인 선전화교타운 간선로가 개통했다. [촬영: 중국신문사 천원(陳文) 기자]
12/351999년, 미국 뉴욕 화교 및 현지 교민들이 중국 성립 50주년을 경축했다. [촬영: 중국신문사 궈젠(郭健) 기자]
13/352001년, 광둥 다왕(大旺)화교농장의 발전은 다왕종합경제개발구로 정착화되어 국내외 투자자들의 발길을 끌었고, 현지 양식업 발전을 촉진해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었다. [촬영: 중국신문사 뤄양밍(羅仰明) 기자]
14/352005년, 브루나이 중화학교의 학생들이 열심히 수업을 듣고 있다. 이 학교는 브루나이 최대 중화권 학교로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정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촬영: 중국신문사 쑹지허(宋吉河) 기자]
15/352005년, ‘제3회 세계 화교 및 교민 단체 연합대회’가 베이징에서 개막해, 참가 대표들은 ‘공감대 증진, 역량 응집, 타이완 독립 반대, 통일 촉진’이 쓰여진 현수막에 함께 서명했다. [촬영: 중국신문사 장친(張勤) 기자]
16/352006년, 국가화교농장발전 개혁사업 팀원들은 광시 현지 화교 농장을 방문해 농림 산업 발전과 구조 조정 및 귀국 교포 자녀들의 학교 문제를 놓고 심도 깊은 의견을 나누었다. [촬영: 중국신문사 류완창(劉萬強) 기자]
17/352007년, 러시아 화교 및 교민들이 베이징 올림픽 국가 수영센터 건설을 위한 기부금을 전달했다. 수영센터 ‘수이리팡(水立方)’ 건설 과정에서 35만 명의 해외 교포와 홍콩, 마카오 동포로부터 9억 3000만 위안을 기부 받았다. [촬영: 중국신문사 톈빙(田冰) 기자]
18/352008년, 88세 미국 교포 우중량(吳仲良) 씨는 기부금을 전달한 쓰촨 지역 ‘차오신(僑心)학교’ 설립 현황을 살피기 위해 방문했다. 1986년~2008년까지 그는 교육 사업을 위해 약 2000만 위안에 달하는 기부금을 전달해 ‘차오신학교’ 31개가 설립되거나 재건되었다. [촬영: 중국신문사 란쯔타오(蘭自濤) 기자]
19/352009년, 영국 런던에서 중국 새해 경축 행사가 성대하게 열렸다. [사진 출처: 중국신문사/촬영: 청자양(程嘉揚)]
20/352010년, 2010명의 해외 교포들이 상하이세계박람회에 모였다. [촬영: 중국신문사 두양(杜洋) 기자]
21/352013년, ‘선저우’ 우주비행사 류왕(劉旺)이 ‘쟈오룽’호 총설계사 쉬치난(徐芑南)에게 상을 수여했다. 1996년 퇴임한 쉬치난은 2002년 미국에서 돌아와 ‘쟈오룽’호 연구개발에 합류했다. [촬영: 중국신문사 푸톈(富田) 기자]
22/352015년, ‘문화중국 사해동춘’ 해외 교포 위문 공연행사가 로스앤젤러스에서 열렸다. [촬영: 중국신문사 마오젠쥔(毛建軍) 기자]
23/352015년, 미국 화교 및 교민들은 2022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 베이징이 선정되자 함께 축하했다. [촬영: 중국신문사 마오젠쥔(毛建軍) 기자]
24/352016년, ‘백년과국량지서(百年跨國兩地書)——복건교비(福建僑批)’ 전시회가 푸저우(福州)에서 열렸다. 교비(僑批)는 해외 화교 및 교민들이 국내에 보내온 편지, 엽서 혹은 외환권들로 편지와 돈이 합쳐진 일종의 편지다. [촬영: 중국신문사 뤼밍() 기자]
25/352016년, 윈난(雲南)에서 유일하게 100세 생신을 맞은 교포 뤄카이후(羅開瑚) 씨[촬영: 중국신문사 류란양(劉冉陽) 기자]
26/352016년, 해외교포 대표가 야안(雅安) 지진 복구를 위한 기부금을 전달했다. 현지민들은 ‘감사합니다 교포’ 팻말을 들고 환영했다. [촬영: 중국신문사 류중쥔(劉忠俊) 기자]
27/352016년, 해외 화교 청소년들은 ‘중국 뿌리찾기 여정’ 여름캠프를 통해 산시(山西)에서 중국 서예법을 배웠다. [촬영: 중국신문사 장윈(張雲) 기자]
28/352016년, 항공촬영한 광시(廣西) 라이빈(來賓)화교농장[촬영: 중국신문사 장쉐린(蔣雪林) 기자]
29/352017년, 항공촬영한 선전(深圳) 세계의 창 관광지[촬영: 중국신문사 천원(陳文) 기자]
30/352018년, 하늘에서 내려다본 푸젠 화교마을 ‘푸톈허우황(莆田後黃)촌’ [촬영: 중국신문사 왕둥밍(王東明) 기자]
31/35쿤밍(昆明) 시가지에 위치한 오래된 화교 마을은 보수 작업을 통해 화교역사전시센터, 화교문화계승기지를 건설했다. [촬영: 중국신문사 런둥(任東) 기자]
32/352017년, 세계 화교 비즈니스 및 상품 박람회가 톈진에서 열렸다. [촬영: 중국신문사 퉁위(佟郁) 기자]
33/352017년, 46명의 해외교포협력센터 대표들이 창사(長沙) 화교 기업을 참관한 후 이들의 스마트 제조 기술을 체험했다. [촬영: 중국신문사 양화펑(楊華峰) 기자]
34/352018년, 캐나다 밴쿠버시는 중국인을 무시했던 지난 과거사에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촬영: 중국신문사 위루이둥(余瑞冬) 기자]
35/352018년 11월 22일, 제18회 화교 창업회가 우한(武漢)에서 열렸다. 전 세계 71개 국가와 지역에서 온 1300여 명의 해외 화교 및 교민과 2000여 명의 국내외 대표들이 참가해 국내외 1093개 사업 연계를 비롯, 협력 의사 및 협의 도달 사업 건수가 121건에 달하고, 투자액이 667억 위안에 달했다. [촬영: 중국신문사 장창(張暢)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