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망|인민망 한국채널
2021년09월14일 

중국 로봇산업 규모 천억 위안 돌파…활용분야 광범위

11:40, September 14, 2021
사진은 ‘2021 세계로봇콘퍼런스’에서 선보인 ‘팬더 로봇’, ‘재활 로봇팔’과 스마트 완구 로봇이다. [출처: 신화사]
사진은 ‘2021 세계로봇콘퍼런스’에서 선보인 ‘팬더 로봇’, ‘재활 로봇팔’과 스마트 완구 로봇이다. [출처: 신화사]

[인민망 한국어판 9월 14일] 9월 10일~13일 ‘2021 세계로봇콘퍼런스’가 베이징이촹(亦創)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같은 기간에 열린 로봇 엑스포에서 선보인 과학계와 산업계의 최신 성과들은 로봇 분야의 앞선 기술과 산업 발전을 관찰하는 창구 역할을 했다.

수요 주도

로봇 활용분야 다원화

이번 로봇 엑스포는 로봇의 활용분야에 따라 산업용 로봇, 서비스 로봇, 특수 로봇 등 3대 전시장을 마련했다. 110개 로봇업체와 과학연구 기관이 선보인 500여 가지의 제품 가운데 상당수가 최초로 선보이는 제품이었다.

산업용 로봇의 전통적인 활용분야는 주로 자동차 제조나 금속제품 가공, 전자 업종 등이었다. 최근 몇 년간 산업용 로봇기술과 공학이 날로 성숙해지면서 활용분야는 점차 가전과 가구, 금속용품, 목욕용품, 위생용품, 식품과 음료 등으로 확장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8년 연속 세계 1위에 안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과 기계의 협업은 산업용 로봇 기술 혁신의 주요 추세다. 협동로봇의 대표적인 활용분야는 수술용 로봇이다. 이번 콘퍼런스의 의료 부스 면적은 지난 회에 비해 배로 늘었다. 일부 업체가 선보인 수술용 로봇이 주목을 받았다. 전통적인 산업용 로봇에 비해 협동로봇은 더 가볍고 컴팩트하며 더욱 유연하다. 협동로봇은 장비나 제품 포장 등 정교한 작업이 필요한 업종에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다.

“바나나 껍질은 어디에 놓을까요?”라는 음성 메시지가 들리자 쓰레기통 뚜껑이 자동으로 열린다. 서비스 로봇 전시구역에서 한 업체가 출시한 인공지능(AI) 쓰레기처리장이 많은 주목을 받았다. AI∙사물인터넷(IoT) 기술 기반 쓰레기처리장은 쓰레기를 스마트하게 분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요 몇 년 새 서비스 로봇은 AI의 발전을 등에 업고 빠르게 발전했다. 음성 이해, 시각 식별 기능이 내장되면서 서비스 로봇이 더욱 똑똑해졌다. 가사, 양로 분야에서 재활로봇, 케어봇을 대표주자로 하는 가정용 로봇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특수한 환경의 작업 니즈가 특수로봇의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발전소의 보일러 과열기∙재열기 등의 유출 고장은 발전설비의 사고를 초래해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런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보일러 작동을 중단시킨 후 사람이 정기적으로 검사를 하는 것이 전통적인 문제 해결 방법이었다. 이런 방법은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작업 시 위험성도 있다. 특수로봇 전시구역에서 보일러 수냉벽(water wall) 감시 로봇이 참관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로봇 개발업체 사장은 “이 로봇은 보일러 수냉벽 위에 놓고 작업할 수 있으며, 이미지 식별 기술을 통해 두께 측정, 결함 탐지 등 전면 검사를 자동으로 마친 후 결과를 후방 작업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어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혁신 주도

고급화 추세

신궈빈(辛國斌) 공업정보화부 부부장은 개막식에서 “지난해 중국 로봇산업 규모는 천 억 위안을 돌파했으며, 중국은 이미 세계 로봇 산업을 지탱하는 버팀목으로 부상했다”고 소개했다.

업계 전문가는 “전반적으로 볼 때 최근 몇 년간 중국 로봇산업은 기초체력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고, 고급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혁신과 활용에서는 이미 세계 선두를 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 로봇업체의 기술자는 “밀폐된 공장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10여 분 만에 온도가 800~1000도로 치솟을 수 있다. 옆에 가는 것은 언감생심이고 일반적인 소방장비도 주위에서만 작업할 수 있다”면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회사는 칭화대학교 연구팀을 주축으로 한 혁신팀을 꾸려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소방로봇을 개발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 로봇은 1000도의 환경에서 30분 연속 작업할 수 있어 소방 구조대원의 작업 범위를 넓혔다”면서 “이 로봇은 소방 일선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조류, 조개류 등이 배 밑바닥에 붙어 있으면 선체를 부식시킬 뿐 아니라 항해에도 영향을 준다. 배 밑바닥 청소에 이용되는 전통적인 고압건 방식은 외부 표면의 페인트가 칠해진 부분에 손상을 가한다. 한 로봇업체가 선보인 수중 청소 로봇은 고압거품 방식을 통해 청소한다. 이 방법은 선체를 손상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한 구역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체 관계자는 “수중 청소로봇은 배 밑바닥을 청소하는 것 외에도 수산양식장의 가두리 그물, 수문 청소에도 이용될 수 있어 앞으로 응용 전망이 밝다”고 말했다.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협동로봇은 많은 국가로부터 미래 업그레이드 발전의 주요 방향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의 분석에 따르면 협동로봇은 최근 몇 년 사이에 발전하기 시작해 국내외 수준이 거의 같다. 중국 로봇 산업은 서비스 로봇 분야의 음성 식별, 이미지 식별 등 기술 활용에서 선진국 수준과 거의 일치한다. 특수 로봇, 수중 로봇, 구조 로봇 등 특수 로봇 분야에서는 점차 핵심 경쟁력을 갖춘 산업을 형성하고 있다. (번역: 이인숙)

원문 출처: <인민일보> (2021년 9월 13일 04면) 

과학 뉴스 더보기

(Web editor: 王秋雨, 李正)

최신뉴스

인민망 소개|인민망 한국어판 소개| 피플닷컴 코리아(주) 소개|웹사이트 성명|광고안내|기사제보|제휴안내|고객센터

인민망 한국어판>>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