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망 한국어판 5월 19일] 한국 부산항 미군 생화학 실험실의 폐쇄와 생화학 무기 철거를 요구하는 부산 시민단체의 항의 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현지 언론은 미군이 한국에 반입한 생화학물질 시료를 폭로하고 미군이 진상을 숨기는 것을 비난하면서 관련 활동의 안전성에 강한 의구심을 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열린 정례 기자회견에서 중국 측의 입장을 밝혔다.
자오 대변인은 “미국 군 당국이 해외 실험실을 이용해 생화학물질 군사화 활동을 하는 것에 대해 국제사회, 특히 유관 당사국 국민과 언론은 이미 강한 불만과 반대의 뜻을 전달했으며, 중국도 이미 여러 차례 엄정한 우려를 전했다”고 밝혔다. 또 “중국은 지난해 8월 한국 내 생화학물질 군사화 활동에 대해 미국에 해명할 것을 촉구했으며, 지난주(5월 12일)에도 미국에 실험실 및 관련 활동은 합법적이고 투명하며 안전을 확보하도록 확실한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거듭 지적하고 ‘생물무기금지협약’(BWC) 사찰 체제 구축을 방해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거듭 촉구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유감스럽게도 국제사회의 우려에 못 들은 척 일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규모 항의가 발발한 한국 부산을 예로 들어 미국에 해명을 요구했다. 그는 “첫째, 미국은 미군이 부산에 생화학물질 시료를 반입한 진실한 목적이 무엇인지, 반입 후 어떤 연구를 했는지 설명해야 한다”면서 “관련 활동이 ‘생물무기금지협약’의 규정에 부합하는지 어떻게 증명할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이에 덧붙여 “둘째, 미국은 왜 진상을 숨겼는지 설명해야 한다. 특히 왜 처음에 부산항 8부두에 실험실을 건설한 것을 부인하다가 2016년 관련 프로젝트가 언론에 폭로된 후 시인했는지? 왜 2015년 당시에는 한국에 처음 생화학물질 시료를 들여왔다고 주장했다가 그 뒤에 또 2009년부터 비밀리에 반입한 것이 조사로 밝혀졌는지 설명해야 한다. 셋째, 미국은 현지 주민의 건강과 안전을 무시했는지 설명해야 한다. 특히 부산항 8부두 반경 500m 이내에는 주거단지 4개와 여러 개의 학교가 있다. 이런 인구 밀집지역에 사고가 발생하면 어떻게 되겠는가?”라고 맹비난했다.
자오 대변인은 또 “합법, 투명, 안전은 미국의 생화학물질 군사화 활동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통된 요구”라면서 “미국이 전면적인 해명과 확실하고 신뢰할 수 있는 행동으로 ‘생물무기금지협약’ 의무를 전면적으로 이행할 것을 거듭 촉구한다. 또 협력 사찰 의정서 협상을 방해하는 것을 중단하고 사찰을 통한 우려 해결 및 상호 신뢰 구축을 위한 여건을 창출하길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밝혔다. (번역: 이인숙)
원문 출처: 환구망(環球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