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망|인민망 한국채널
2025년02월20일 

서학도-금면동인두상…‘너자2’에 숨은 어떤 문물이 숨어있을까

16:58, February 20, 2025
감지기하학운문동돈(嵌地幾何雲紋銅敦)
감지기하학운문동돈(嵌地幾何雲紋銅敦)

[인민망 한국어판 2월 20일] 올해 춘제(春節: 음력설) 연휴에 개봉된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 ‘너자 2’는 중국 영화 사상 최초, 아시아 최초로 박스오피스 수입이 100억 위안(약 1조 9789억 원)을 넘은 영화에 등극했다. ‘너자2’에 숨은 고대 문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천원정(天元鼎)

영화 속의 천원정은 중국 고대의 청동 솥(鼎) 문화를 보여준다. 고대 중국에서 솥은 권력과 지위의 상징이었다. 천원정은 천교(闡敎)의 중요한 보배다. 이는 천교가 숭고한 지위와 최고의 권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어떤 형태로 나타나든 솥은 상대(商代: 약 BC1600년~BC1046년) 청동 솥의 문양 특색을 띠고 있다. 작은 솥의 전체적인 모양은 용문편족정(龍紋扁足鼎)의 복부와 다리 디자인을 참고했으며, 큰 솥의 문양에는 청동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도철(饕餮) 무늬와 구름∙천둥 무늬가 융합돼 있다.

결계수(結界獸)

청동대조두(青銅大鳥頭)

멍하지만 귀여운 영화 속 캐릭터 ‘결계수’도 떴다. 특별한 신분을 가진 결계수 두 마리는 원시천존(元始天尊)이 태을진인(太乙真人)에게 선물로 줬다. 키도 작고 아이큐도 낮지만 유머러스한 외모로 언뜻 보면 외계인처럼 느껴진다.

금면동인두상

이들은 과장된 굵은 눈썹에 둥근 눈, 주먹코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싼싱두이(三星堆, 삼성퇴) 유적에서 출토된 ‘금면동인두상(金面銅人頭像)’의 고전적 요소와 매우 일치한다.

옥허궁(玉虛宮) 지붕

천교의 핵심 장소인 옥허궁의 디자인은 중국식 미학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다. 옥허궁의 건축 양식에는 강함과 부드러움이 공존한다. 전통 궁전의 대칭과 장중함을 유지하면서도 추녀와 앵글의 동적 곡선을 잘 살렸다.

‘서학도’의 일부

너자가 옥허궁으로 갔을 때 한 무리의 학이 날아다니고 있다. 그 중 학 두 마리가 옥허궁 지붕에 떨어진다. 이 신(scene)은 송대(宋代: 960년~1279년) 휘종(徽宗) 조길(趙佶)의 대표작 ‘서학도(瑞鶴圖)’에서 영감을 받았다. (번역: 이인숙)

원문 출처: 인민망/자료 및 사진 출처: 신화사

문화 뉴스 더보기

출처: 인민망 한국어판 | (Web editor: 李美玉, 李正) 독자 제보

<저작권자(c) 인민망,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최신뉴스

인민망 소개|인민망 한국어판 소개| 피플닷컴 코리아(주) 소개|웹사이트 성명|광고안내|기사제보|제휴안내|고객센터

인민망 한국어판>>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