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04월 26일 월요일 

피플닷컴을 시작페이지로즐겨찾기중국어영어일본어러시아어

인터넷이 중국사회에 미치는 영향 (4)

By 랴오훙(廖玒) 인민망 총재 겸 총편집

11:41, March 19, 2012

2. 현실세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사이버 인터넷
인터넷 정보의 자유로운 이동은 마치 한 마리의 물고기가 헤엄치는 모습을 연상케 한다. 아울러 중국사회에 활력을 가득 불어넣었다.

(1) 웨이보 공익과 국민사회
2011년 인터넷 특히 웨이보를 통해 지식인, 기자 등은 두 차례의 걸친 대형 ‘웨이보 공익’ 활동을 펼쳤다. 첫 번째는 ‘앵벌이 아동 구제’ 활동이었는데 베이징 일부 학자와 유명 네티즌을 시작으로 수십만 네티즌이 가세했고, 기존 미디어가 심층 보도를 전해 전인대 대표와 정협 위원의 지원을 얻게 되었다. 또 공안부 인신매매 단속반 천스취(陳士渠) 주임과 각지 공안기관은 매일 웨이보에 올라온 네티즌들의 정보를 토대로 조사를 펼치며 전국적으로 인신매매 단속수사를 시행해 네티즌 웨이보와 수사 웨이보 그리고 인터넷 단서와 경찰출동이 상호작용을 이루었다.

다음은 ‘무료 점심’ 활동이었다. 500명의 언론인이 웨이보에서 시작하여 타오바오왕(淘寶網, 인터넷 쇼핑 사이트)에 가게를 개설해 무료 점심을 사이버 제품으로 만들어 낙후한 지역의 2만 명 아이들에게 점심을 제공하였다.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는 10월 국무원 상무회의를 주최한 자리에서 농촌 의무교육대상 학생들에게 영양개선계획을 실시한다고 전했다. 그리고 중앙 재정은 680개 현(시)의 약 2,600만 명 학생들에게 끼니보조금을 실시하는 데 있어 그 기준을 ‘무료 점심’에서 시행했던 한 끼 3위안으로 책정했다.

인터넷 ‘웨이보 공익’ 활동은 국민의식 배양과 민간조직의 육성에 도움이 된다. 인터넷 플랫폼을 토대로 한 사회 ‘조직능력’이 때로는 정부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이들은 정부의 중요한 협력자이다.

(2) 인터넷을 통한 각계의 목소리
중공 17차 대회에서 대중의 알 권리, 표현의 권리, 참여의 권리, 감독의 권리 보장이 제기되었고 인터넷에서는 이 ‘4개 권리’ 시행을 위한 기술적 플랫폼을 제공했다. 사회 각 계층이 인터넷을 통해 이익 투명화에 대한 ‘목소리를 내는 것’이 점점 규범화되고 있다. 인터넷 여론의 힘은 신문, TV, 라디오 등의 미디어를 넘어서고 서방 선진국의 사이트 또한 능가했다. 중국은 햇살정부로 나아가고 있다.

인터넷 계층에는 먼저 기존 지식인들로 학자, 작가 그리고 일부 기자들을 포함한다. 20세기 80년대에 이들은 학술 저서와 학교 내 강연을 통해 유명해졌다. 예를 들면, 예술가 겸 철학자인 리쩌허우(李泽厚)는 당시 젊은이들에게 존경받았는데 이는 그의 저서 <미의 과정(美的歷程)>과 중국사상사론 3부로 인한 것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엔 인터넷상에서 레이이(雷頤)가 역사를 류쥔닝(劉軍寧)이 정치학을 위궈밍(喩國明)이 여론감독을 허웨이팡(賀衛方)이 사범공정에 대해 강연한다. 이들은 가상공간에서 학술적 생명력과 영향력을 연장해 나갔다.


[1] [2] [3] [4] [5] [6] [7] [8] [9] [10]

Print(Web editor: 轩颂)

한국의 시장님들을 만나다!

피플닷컴 코리아(주) 창립식

중국 쓰양(泗陽)


제휴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