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중국 기업의 ‘해외진출’ 정책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혁개방 초기 30년 동안에 중국은 외자유치를 중점적으로 했고, 현재 1조 달러가 넘는 해외자금이 중국에 유치되었습니다. 세계 500대 기업 중에 480여 개 기업이 모두 중국에 투자를 하고 R&D센터를 설립했습니다. 이는 중국의 시장은 개방적이고, 경영환경이 나쁘지 않으며, 잠재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죠. 그렇지 않으면 이렇게 많은 기업들이 중국에서 투자를 할 리가 없을 테니까요. 물론 일부 분야는 지속적으로 보완해야 하지만, 근 10년 동안 중국 기업의 대외투자는 좋은 스타트를 끊어 나아가기 시작했고, 성장속도도 매우 빠릅니다. 지금까지 중국이 해외시장에서 투자한 누계 금액은 이미 3,800억 달러에 달하고, 투자기업의 수는 이미 2만 개에 달하며, 전세계 180여 개 국가와 지역에 있습니다. 이렇게 빠른 성장을 할 수 있는 이유는 기업이 해외에 투자를 할 시에 매우 열정이기 때문인데요. 업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 부분을 느낄 수 있습니다. 중국 국제무역촉진위원회는 과거 5년 동안 매해 4월마다 중국 기업의 ‘해외진출’ 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올해의 회의에 중국의 1천 여 명의 기업대표가 출석하고, 해외 20개국의 기업들이 참석했습니다. 이 회의에서는 정책분야를 소개하기도 하고 실무 프로젝트를 추천하기도 합니다. 저희는 국가의 입장에서 우리나라의 경영환경과 우대정책을 브리핑하죠. 또한 자동차와 신 에너지, 기계설비와 같은 산업별로 소개하기도 합니다. 해당 산업의 분류에 따라 얘기를 나누는 것이죠. 이렇게 하면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되는 것입니다.
중국의 해외투자는 매우 빠른 성장을 기록했지만, 그 수는 비교적 적은 편이에요. 해외시장에서의 중국 투자액은 3,800억 달러인데, 이는 해외기업의 중국에 대한 투자가 1조 2천억 달러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비교적 적은 편이죠.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향후에 나아가야 할 방향도 보았습니다. 현지시장과 정책, 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직원교육 등을 포함해 중국 기업이 해외에서 투자를 하는 것은 이제 걸음마 수준이고, 많은 부분에 있어 계속 발전해야 합니다. ‘해외진출’ 정책을 실행하려면 중국 기업계는 현지 정책과 업계를 이해할 뿐 아니라 직원들의 외국어 수준도 훌륭해야 하며, 또한 자신만의 판매 루트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 모든 것들은 중국 기업이 ‘해외진출’ 정책 추진 과정 속에서 반드시 주목해야 하는 문제죠. 현재 기업들은 이미 이 부분을 매우 중시하고 있는데요. 최근 2년 동안 다소 호전되긴 했지만 제가 볼 땐 더욱 노력해야 합니다. 중국 기업의 ‘해외진출’ 정책은 반드시 실행해야 하는 것이고, 그 성장 잠재력도 매우 큽니다. 그 이유는 중국이 이미 국제상업 사회에 완전히 녹아 들었고, 글로벌화 과정에 돌입했기 때문이죠. 중국사회가 개방되어 해외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해 실질적으로 이익을 취한 것도 사실이지만, 그들이 중국 국민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킨 것도 사실입니다. 중국도 이 기회에 해외에 나가 투자하고, 저희의 선진 기술설비를 가지고 나가 시장을 개척해야 합니다. 또한 투자 대상국에 상업적 기회와 취업기회를 부여해야 하죠. 그리하면, 결국에는 현지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겁니다. 따라서 이러한 목표도 저희가 기업과 교류할 때 중요한 내용이 됩니다.
저는 중국 기업의 ‘해외진출’ 전략의 전망이 매우 밝고 이를 함께 노력해 반드시 성공시킬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기자: 네 부회장님의 좋은 말씀 감사 드립니다. 다시 한 번 피플닷컴 코리아의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 전해드리며, 저희는 남은 시간 동안 여수엑스포와 중국관이 큰 성공을 거두길 희망하고 부회장님의 이번 방한일정이 성공적으로 끝나기 바라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왕 부회장: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