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1  中文·韓國
지난 13일 무장행군을 실시하고 있다. [촬영: 중국신문사 허쥔이(賀俊怡) 기자]
지난 13일 구이저우(貴州) 마장(麻江)현의 한 훙쏸탕(紅酸湯) 생산 공장 직원이 발효 중인 훙쏸탕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출처: 신화사/촬영: 차이싱원(蔡興文)]
지난 31일 구이저우(貴州)성 이디푸핀(易地扶貧) 단지, 사람들이 퇀위안판(團圓飯)을 먹고 있다. (드론 촬영) [사진 출처: 신화사/촬영: 장후이(張暉)]
열차 승무원들이 설 연휴 승객 수송을 대비해 예절 교육을 받고 있다.
[인민망 한국어판 1월 8일] 지난 1일, 며칠 동안 낮은 기온과 진눈깨비로 구이저우(貴州)성 첸둥난묘족동족자치주(黔東南苗族侗族自治州) 단자이(丹寨)현은 ‘겨울옷’으로 갈아입었다. 하늘에서 내려다본 룽취안(龍泉)진 마자이(馬寨) 차 농원 설경은 한 폭의 그림을 연상케 했다. 관광객은 아름다운 설경에 도취됐다. [촬영: 양우쿠이(楊武魁)]/원문 출처: 인민망(人民網)/번역: 김리희
[인민망 한국어판 1월 7일] 1주일간 진행되는 무장경찰 구이저우(貴州)성 총대(總隊) 동계 야외 훈련이 지난 2일 실시됐다. 500km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하는 해당 훈련은 차량 이동 및 행군을 기반으로 실시된다. 대원들은 노선을 따라 유리한 지점을 점령하고 위협 및 다양한 변화가 도사리는 산간 지역에서의 전투, 포획, 대테러, 오염지역 통과, 무장행군 등 훈련을 소화한다. [사진 출처: 중국신문망/촬영: 취훙룬(瞿宏倫)]/원문 출처: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번역: 은진호
[인민망 한국어판 12월 19일] 지난 12일, 며칠 동안 차가운 공기의 영향으로 구이저우(貴州)성 준이(遵義)시 우촨흘로족묘족(務川仡佬族苗族)자치현 지대에 상고대가 피어 환상적인 겨울 풍경이 연출됐다. [촬영: 톈둥(田東)]/원문 출처: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번역: 김리희
11월 26일 구이저우(貴州)성 리핑(黎平)현 황강(黃崗) 둥자이(侗寨, 동족 마을), 신랑 우신원(吳新文) 씨가 신부 우청메이(吳成美) 씨와 함께 신방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촬영: 중국신문사 허쥔이(賀俊怡) 기자]
[인민망 한국어판 10월 19일] 중국은 다양하고 독특한 교량이 많기로 유명하다. 특히 구이저우(貴州)성은 중국에서 유일하게 평원이 없는 성으로 구이저우성 카르스트 고원에는 2만여 개가 넘는 교량이 설치되어 있다. 구이저우성은 수십 건이 넘는 교량 관련 ‘세계 최고’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세계 100대 높은 교량 가운데 46곳이 구이저우성에 위치하고 있다. 중국 개혁개방 40년 이래 많은 건축가들이 ‘교량 정신’이라는 것을 만들어냈다. 건축가들은 구이저우성에 많은 수량의, 다양한 종류의, 복잡한 기술력을 갖춘, 고난도의 ‘교량 박물관’을 형성했다. 구이저우성의 이러한 기적은 중국 사람들의 끊임없이 분투하는 노력이 담긴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사진은 고속열차 한 대가 예랑허특대교(夜郞河特大橋)를 지나고 있는 모습이다(1월 11일 드론 촬영). 해당 교량은 구이저우(貴州)성 퉁쯔(桐梓)현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구니 형태’의 디자인을 채택했고 최대 경간은 370m에 달한다. [촬영: 신화사 어우둥취(歐東衢) 기자]/ 원문 출처: 신화망(新華網)/번역: 은진호
[인민망 한국어판 10월 16일] 지난 14일, 사람들은 구이저우(貴州)성 싱이(興義)시 쥐산(桔山)광장에서 알록달록한 열기구를 구경하고 있다.[사진 출처: 신화사/촬영: 류차오푸(劉朝富)]/원문 출처: 신화망(新華網)/번역: 김리희
  • 정치
  • 경제
  • 사회
  • 논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