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26  中文·韓國

향기로운 치과 전상섭 원장

  09:31, April 23, 2014

향기로운 치과 전상섭 원장
[인민망 한국어판 4월 23일] 과거에 치아교정은 ‘부의 상징’으로 여겨졌습니다. 치아교정을 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다 보니 교정을 받는 인구가 소수였기 때문이죠. 하지만 최근에는 교정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면서 치아교정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비용이 저렴해지지도 않았는데 말입니다. ‘경제적인 여유’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치아교정 열풍, 지금부터 ‘봉사하는 의사’ 전상섭 원장과 함께 치아교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기자: 최근 언론 보도나 각종 통계 자료를 통해서 한국을 찾는 중국인 의료관광객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소식을 자주 접하고 있지만 일반인들은 한국 의료 기술의 인기가 어느 정도인지 체감하기가 어렵습니다. 치과 전문의로서 한국 의료 기술의 인기를 어느 정도 실감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전상섭 원장: 한국 치과의사들의 숫자가 점점 늘어나면서 임상 실력과 병원경영 부분의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민소득이 향상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치과영역(치아와 잇몸, 치열, 양악, 턱 관절)이 전신건강에 매우 중요하고 심미적으로도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으며, 치과의사와 치과산업체들은 이러한 환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경쟁구도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에서는 선진국의 앞선 과학기술과 제품을 들여와 비교연구하고 I.T와 B.T등을 접목한 최신기술과 제품들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강Scanner, CAD CAM, RP, CT 등을 이용하여 ①하루 만에 끝나는 보철치료 ②더욱 정확한 턱 교정수술 ③얇고 견고한 설측교정을 통한 더욱 심미적이고 편안한 교정치료 ④더욱 안전한 임플란트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기자: 과거에는 치아 교정의 주요 목적이 치료였다면,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미용을 목적으로 치아 교정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미용을 목적으로 치아교정을 받기에는 그에 따른 부작용을 걱정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치아 교정은 어떤 사람이 받아야 하나요?

전상섭 원장: 기능과 심미를 구분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완벽한 ‘기능’을 할 때가 가장 심미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물주가 사람을 만든 원리를 살펴보면, 가장 효율적인 기능에 맞게 형태를 만들었다는 말 입니다. 각 개인에 맞는 치열교합(턱 관절, 저작근육, 두 경부영역과 조화를 이루는 상태)을 만들어주는 것이지요. 심미(아름다움)란, 주관적 요소와 객관적 요소들의 합산입니다. 자라온 환경, 문화, 유행에 영향 받는 주관적 심미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바뀔 수 있고, 황금비율(Golden Ratio)이나 악 안면 두 개의 계측치와 같은 객관적 요소들은 개인별로 정형화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정치료는 이 두 가지 요소들과 기능적인 면들을 분석 종합한 진료여야 합니다.

기자: 소속하고 계신 전문 구호 봉사단체 ‘사랑을 담는 사람들’이 몇 해 전 중국 길림성에서도 의료 봉사를 펼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외의료봉사를 나가보면 낙후된 지역 주민들의 치아 상태가 굉장히 좋지 않을 것 같은데요. 당시 주민들의 치아 상태는 어땠나요?

전상섭 원장: 2008년과 2009년에 연길, 용정, 화룡 시에서 의료봉사를 하였습니다. 2008년에는 용정 시 인민병원과 의료 협약 하에 용정 시 희망 원(고아원), 삼합진 위생원, 동성진 인화촌에서 진료하였고, 2009년에는 화룡지역의 지체장애인 시설과 양로원 및 희망 원(고아원)진료를 하였습니다. 삼합진위생원은 의료시설이 상당히 열악했었고 주민건강상태 역시 전체적으로 좋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가공식품이 많지 않고 유기농 농산물을 섭취하여서 선지비만, 당뇨, 심혈관 질환 등은 비교적 적은 편이었습니다. 화룡 시 주민들의 구강보건상태는 보철치료가 거의 없이 발치 된 상태이거나 보철치료를 받았더라도, 기술적으로 낙후되어 있었습니다.

기자: 마지막으로, 인민망 네티즌들에게 ‘올바른 치아교정’에 대해서 한 말씀 부탁 드립니다.

전상섭 원장: 먼저 부정교합의 원인과 예방에 대해서 언급하겠습니다. 치열과 위아래 턱뼈(양악)의 배열, 또 그 접촉관계가 잘못된 것을 부정교합이라 합니다. 부정교합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신생아 시기에 발생하는 원인을 살펴보겠습니다. 인공분유나 우유를 먹는 아이는 모유를 수유한 아이보다 훨씬 높은 알러지 반응을 보입니다. 이는 아이가 모유에 함유된 면역물질과 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모유수유를 통해 건강한 면역체계를 형성하여야 비강과 부 비강 점막의 알러지 성 비후(코막힘)가 줄어들게 됩니다. 코가 막혀 구호흡(입호흡)을 하게 되면 입술, 뺨, 혀의 기능이 잘못되어, 부정교합을 초래하게 됩니다. 또한 젖을 빨 때 젖꼭지와 혀가 구강천장 구개부를 압박하여 상악궁(입천장)을 넓히고(코의 Volume이 커짐: 호흡원활), 상, 하악궁, 혀, 뺨, 입술 사이의 정상관계가 이루어지면서 모유를 연하(꿀떡 삼켜서 넘김)하게 됩니다. 모유수유만으로 충분하지 않아 젖병이나 인공젖꼭지를 이용할 때는 기능과 형태가 가장 유사한 것(예: NUK)을 사용해야 합니다.

정상적인 수유(젖빨기)가 균형 잡힌 얼굴과 자세를 형성합니다. 소아, 청소년시기에 보이는 나쁜 습관(손가락빨기,혀내밀기,입술깨물기, 등)과 구 호흡(입으로 호흡), 잘때 이갈이&이악물기 등은 반드시 기능교정장치를 사용하여 차단하고 필요 시 이비인후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반대교합(위 아래가 엇갈려 물리는 것), 앞니가 맞물리지 않는 개방교합, 아래 앞니가 안보일 정도로 깊이 물리는 과잉 피개 교합 등은 턱관절장애를 유발하고 턱과 얼굴의 좌우 전후 상하 비대칭을 유발시키므로 빨리 교정해야 합니다.

치과교정치료시기는 크게 3단계로 구분하는데 유치열기나 혼합치열시기의 차단교정(성장교정), 2차 성장기 영구치열 완성 무렵(초등학교 6학년~중학교 2학년)의 치열교정, 성장 완료 후(고등학교) 턱 교정수술(양악혹은 편악수술)을 동반하는 교정치료가 있습니다. 성장에도 개인차가 있고, 교정치료 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이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치료계획과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박수정 기자
(Web editor: 樊海旭, 軒頌)
微信二维码图片(韩文版)

포토뉴스

더보기
  • 정치
  • 경제
  • 사회
  • 논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