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26  中文·韓國

웨이싱(衛星) 푸얼시위원회 서기: 내실있고 강한 국가 친환경 경제 시험시범구

출처: 인민망 한국어판  10:20, June 16, 2015

2015년 3월 24일, 중앙정치국회의에서 ‘친환경화’가 처음으로 언급되면서 중국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제기된 신형공업화, 도시화, 정보화, 농업현대화의 ‘新4화’에 ‘친환경화’가 추가되었다. 이로써 ‘4화’는 ‘5화’로 바뀌었다.

푸얼시는 중국 최초로 국가친환경경제시험시범구로 비준을 받아 국가에서 친환경화를 국가 정책으로 승격할 때 이미 친환경화를 시 발전 전략으로 삼아 친환경 발전의 푸얼 건설을 시작했다. 역사적 기회를 포착하여 실무적인 성과를 이루고 국가친환경경제시험시범구 건설을 통해 복제 및 보급이 가능한 친환경화 발전의 길을 모색하는 것은 푸얼의 정치 및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 되었다.

인민망: 푸얼시의 ‘생태도시 건설을 통한 친환경 발전’ 전략의 현실적인 여건과 핵심적인 구상은 무엇입니까? 생태환경이 양호한 윈난성에서 푸얼시가 국가급 친환경경제시험시범구로 선정되는 선기를 잡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웨이싱 서기: 대대적인 친환경 정책 실시를 통해 친환경 생산을 지원하고 친환경 소비를 주창하여 전사회적으로 현대문명의 친환경생산 생활방식을 형성하고 이를 구현하는 한편 자원에너지 절약과 생태환경보호 및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이루고 시대적 특징과 푸얼의 특색을 갖춘 과학적이고 친환경적이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는 길을 걷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러한 구상을 기반으로 ‘생태도시 건설을 통한 친환경 발전’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인민망: 푸얼의 국가친환경경제시험시범구 건설이 경제사회의 어느 분야로 파급될 것으로 전망하십니까?

웨이싱 서기: 푸얼시의 국가친환경경제시험시범구 건설은 다음 분야에 파급효과를 일으킬 것으로 전망됩니다. 첫째, 지역경제구도 최적화, 친환경 도농발전 통합, 생태공간 구도 구축을 포함한 국토공간 개발 구도를 최적화하게 될 것입니다. 둘째, 친환경 농업, 친환경 공업과 친환경 서비스 발전을 포함한 친환경 생산방식을 추진하게 될 것입니다. 셋째, 특색 있는 바이오산업기지, 청정에너지기지, 현대임업산업기지, 레저휴양기지를 포함한 4대 친환경산업기지를 건설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넷째, 친환경정책 실시, 친환경생산과 친환경 소비방식 구축, 대순환전략 실시, 친환경문화 육성을 포함한 사회 전체의 친환경발전을 추진하게 될 것입니다. 다섯째, 생태보호와 복원 강화, 환경보호 강도 확대, 생태환경 모니터링 강화 등을 포함한 생태건설과 환경보호를 강화하게 될 것입니다. 여섯째, 종합교통시스템 건설 가속화, 수리 인프라 건설 강화, 도시와 농촌의 오수 및 쓰레기 처리 시설 건설 가속화를 포함한 친환경 발전을 강화하는 인프라 근간을 구축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민망: 푸얼의 국가친환경경제시험시범구 건설이 시 전체의 조율과 발전을 견인하는 역량과 가치는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

웨이싱 서기: 시험은 하나의 과정이고, 시범은 시험의 결과입니다. 시험의 과정이 참고와 본보기로 삼을 만한 가치가 있다면 시범적인 역할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음 4개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째, 생물의 다양성을 보호하고 생태안전 보호벽 건설을 위해 새로운 모델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합니다.

둘째, 생태문명 건설과 친환경 저탄소 순환발전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새로운 루트를 모색할 수 있어야 합니다.

셋째, 민족단결 및 진보를 촉진하고 국경지역의 번영과 안정을 공고히 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개척할 수 있어야 합니다.

넷째, 주변의 개방 수준을 높이고 중국의 관문으로서의 이미지를 드높이기 위한 새로운 창구가 될 수 있어야 합니다.

인민망: 시범구가 청사진에서 전면적인 실현으로 변화하게 된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친환경 발전’의 슬로건을 내건 푸얼이 진정한 국가친환경발전의 시범지와 선도자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웨이싱 서기: 국가친환경경제시험시범구 건설을 통해 친환경 생산방식을 대대적으로 추진하고 경제 친환경화 개조와 경제 친환경화 구축을 추진하여 생태문명 요구에 부합하는 친환경산업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가해야 합니다. 이와 더불어 친환경 생활방식을 적극 추진하고 사회 전체의 절약 및 환경보호 의식을 강화하고 친환경 소비와 외출, 생활을 장려를 통해 친환경 발전을 추진하는 강한 힘을 모아 국가친환경발전 시범지와 선도자가 되기 위해 힘써야 할 것입니다. 

(Web editor: 實習生, 趙宇)
微信二维码图片(韩文版)

포토뉴스

더보기
  • 정치
  • 경제
  • 사회
  • 논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