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03월 19일 화요일 

피플닷컴을 시작페이지로즐겨찾기중국어영어일본어러시아어

HSBC, 위안화 5년 내 완전한 태환성 갖출 것

18:05, March 19, 2013

[신화망(新華網)] HSBC 중국의 취훙빈(屈宏斌) 수석 경제학자는 18일 언론과의 화상회의에서 중국의 직접투자 유입 및 유출 개방을 결합해 봤을 때 위안화가 향후 5년 내 완전한 태환성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위안화가 글로벌 통화가 되기 위해서는 완전한 태환성이 갖춰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그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내적 환경이 무르익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무역 불균형 상황이 개선되고 있으며 위안화 환율 역시 균형 수준에 맞춰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 새 정부에서는 금융 개혁을 가속화하고 중국 금리의 시장화를 촉진하는 한편 국내 금융시장을 발전시키겠다는 기치를 내걸었는데 이러한 것들이 모두 위안화의 태환성 확보에 양호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HSBC가 제공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011년 6월에 900개 국가의 금융 기관에서 위안화 업무를 시작한 이후 현재는 만 여 곳으로 불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불과 3년 전에 수립된 해외 위안화 자금 역시 현재는 이미 9000억 위안(약 1430억 달러 상당)의 규모에 달한다. 중국에서 위안화로 결제하는 수출입 액수도 6배 가까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수출입 총액 비중의 12%에 해당한다.

취훙빈 경제학자는 위안화의 국제화 속도가 예상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좀 더 가속화가 붙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그는 2015년까지 중국 내 30%의 무역량이 위안화로 결제될 것이며 이는 위안화를 전 세계 3대 무역 결제 통화 중 하나로 부상하게 만들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그 외에, 해외 위안화 시장의 급격한 성장 역시 위안화 국제화를 촉진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해외 위안화 시장은 2010년 첫 발을 뗀 이후 2012년에 그 유동량이 2.5배로 급격하게 불어났다. 홍콩은 위안화 해외 허브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 타이완과 싱가폴에서도 위안화 결산은행을 승인하여 신흥 허브로 부상 중이다.

위안화 국제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들에 대하여 그는 신화통신 기자에게 국내 시장과 해외 시장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노린 투기가 활성화 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위안화 글로벌화는 국제 무역에서 중국의 역할과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국내 기업의 시장 개척과 환율 리스크를 낮추는 데도 장점이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이득이 많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쑨어우멍(孫鷗夢) 기자

Print(Editor:轩颂、赵宇)

한국의 시장님들을 만나다!

피플닷컴 코리아(주) 창립식

중국 쓰양(泗陽)


제휴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