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망|인민망 한국채널
2025년07월09일 

민주개혁 60주년 시짱의 발전사, 비참했던 농노의 과거와 현재

인민망 한국어판 kr@people.cn
16:03, April 09, 2019

▲사진(왼쪽): 과거 시짱의 농노주들은 농노가 도망가는 것을 막기 위해 쇠사슬로 묶은 후에 노동력을 갈취했다. (자료 사진)

사진(오른쪽 위): 산난(山南)시 나이둥(乃東)구 먼중강(門中崗)촌의 한 농민이 스마트폰으로 셀카를 찍고 있다.(2019년 3월 16일 촬영)[촬영: 신화사 줴궈(覺果) 기자]

사진(오른쪽 아래): 시짱 북부 당슝(當雄)현의 한 목축민이 전통의상을 입고 경마축제에 참석했다. (2008년 9월 1일 촬영)[촬영: 신화사 푸부자시(普布扎西) 기자]

▲사진(왼쪽): 과거 시짱의 모습, 여성과 아이들이 길거리에서 먹을 것을 구걸하고 있다. (자료 사진)

사진(오른쪽 위): 커쑹(克松)촌은 시짱에서 최초로 민주개혁을 시도한 마을이다. 커쑹촌 여성들이 전통의상을 입고 설 특집방송 촬영을 하고 있다. (2019년 3월 16일 촬영)[촬영: 신화사 리신(李鑫) 기자]

사진(오른쪽 아래): 한 장족 모델이 바쿼제(八廓街)를 걷고 있다. (2019년 1월 20일 촬영)[촬영: 신화사 푸부자시(普布扎西) 기자]

▲사진(왼쪽): 해방 전 라싸(拉薩)시 거리의 모습이다. 기아와 질병으로 쇠약해진 한 노인이 거리에서 구걸을 하고 있다. (자료 사진)

사진(오른쪽 위): 농노 출신 바주(99세) 씨가 학생들과 교류를 하고 있다. (2019년 3월 20일 촬영)[촬영: 신화사 푸부자시(普布扎西) 기자]

사진(오른쪽 아래): 시짱 산난(山南)시 충제(瓊結)현 다섯 가지 생활 보호 대상자 집중 부양센터(五保戶集中供養中心) 노인들이 추석 명절을 함께 보내고 있다. (2016년 9월 14일 촬영)[촬영: 신화사 푸부자시(普布扎西) 기자]

▲사진(오른쪽): 양쪽 눈을 도려진 농노가 민주개혁 가운데 농노주의 범죄행위를 고발했다. 농노주는 무거운 돌모자를 농노의 머리에 씌운 후 돌로 농노의 두 눈에 압력을 가했고 칼로 두 눈을 도려냈다. (자료 사진)

사진(왼쪽 위): 산난(山南)시 춰나(錯那)현의 한 문파족(門巴族) 여성의 모습이다. (2018년 9월 28일 촬영)[촬영: 신화사 줴궈(覺果) 기자]

사진(왼쪽 아래): 한 장족 노인이 병원에서 안구 검사를 받고 있다. (2018년 8월 31일 촬영)[촬영: 신화사 진메이둬지(晉美多吉) 기자]

▲사진(오른쪽): 민주개혁 전 시짱 라싸시 빈민가에 살고 있던 한 모녀의 모습이다. (자료 사진)

사진(왼쪽 위): 장족 어린이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2018년 2월 5일 촬영)[촬영: 신화사 줴궈(覺果) 기자]

사진(왼쪽 아래): 시짱 린즈(林芝)시 부주(布久)향 마이바(麥巴)촌, 민족의상을 입은 두 자매가 논 위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2017년 11월 19일 촬영)[촬영: 신화사 진메이둬지(晉美多吉) 기자]

▲사진(오른쪽): 해방된 농노 자녀들은 교육의 기회를 얻었다. 사진은 쉬는 시간 학생들이 공연을 하는 모습이다. (자료 사진)

사진(오른쪽 위): 시짱에서 배출된 최초의 박사 학위 수여자들의 모습이다. (2018년 9월 28일 촬영)[촬영: 신화사 줴궈(覺果) 기자]

사진(왼쪽 아래): 야크를 연구하는 장족 여박사 지추메이(姬秋梅) 씨가 시짱자치구 농업과학원 가축과학연구소에서 샘플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2019년 2월 28일 촬영)[촬영: 신화사 푸부자시(普布扎西) 기자]

▲ 1954년 12월 25일, 촨짱[川藏: 중국 쓰촨(四川)과 시짱(西藏)], 칭짱[靑藏, 칭하이(靑海)-시짱]을 잇는 두 도로가 라싸시까지 개통됐다. 사진은 부다라궁(布達拉宮, 포탈라궁) 광장에서 개최된 개통식 현장 모습이다. (자료 사진)

▲ 칭짱(靑藏) 철도 열차는 라싸(拉薩)시를 통과한다. (2016년 6월 27일 촬영)[촬영: 신화사 푸부자시(普布扎西) 기자]

▲ 바주(巴珠) 씨가 99세 생일을 맞이했다. (2019년 3월 20일 촬영)[촬영: 신화사 푸부자시(普布扎西) 기자]

[인민망 한국어판 4월 9일] 1959년 3월 28일 중앙인민정부는 기존의 시짱(西藏) 지방정부를 해체하고 민주개혁을 실행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시짱 지역 100만 농노가 해방됐고 그들은 설역고원의 새로운 주인이 되었다. 2009년 1월 19일 시짱자치구 제9회 인민대표대회 2차회의는 매년 3월 28일을 시짱 100만 농노 해방기념일로 제정했다.

100만 농노의 운명을 바꾼 민주개혁이 시작될 때 바주(巴珠) 씨의 나이는 39세였다. 바주 씨의 39년 동안의 기억은 슬픔으로 가득했다.

바주 씨는 “배불리 먹지도, 따뜻하게 입지도 못했다. 낮에는 농노주의 가축처럼 일을 했고 밤에는 농노주가 키우는 개처럼 우리에서 자며 집을 지켰다”라고 말했다. 당시 농노들은 아파도 치료는 생각도 못 했고 참고 견디는 수밖에 없었다. 신체적인 조건이 뒤떨어지는 농노의 경우에는 고된 노동으로 젊은 나이에 목숨을 잃기도 했다. 그들은 장수를 기대하지도 않았고 100세까지 살 엄두도 내지 못했다.

당시 시짱에는 현대의학 및 위생기관이 없어 사람들의 평균수명이 35.5세에 불과했다. 노인들은 ‘운이 좋게’ 암흑의 시대를 살아왔지만 그때는 존엄도, 자유도, 집도 없었다.

오래된 장족(藏族) 민요에는 “설산이 쑤유(酥油: 소•양의 젖에서 얻어 낸 유지방)로 변해도 모두 영주들의 차지였고 강물이 우유로 변해도 우리는 마실 수도 없었다. 목숨은 부모가 주지만 몸은 관리자들이 소유한다”라고 당시 농노의 비참한 생활을 표현하고 있다.

모든 변화는 60년 전 시짱 민주개혁으로부터 시작됐다.

그해 바주 씨는 토지, 집 가축을 지급받았고 딩가(頂嘎)촌 농노 조합팀 팀장으로 선발됐다. 이후 아내를 얻어 자식을 낳고 가정을 이루며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60년이란 세월 동안 시짱의 변화 속도는 1000년과 맞먹는다.

시짱은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했다. 현재 370만 7000명의 시짱 인구가 사회보험에 가입했고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312만 3000명에 달한다. 또한 시짱으로 통하는 도로의 길이는 9만 7400km에 달하고 차량 보유수는 50만 대를 넘어섰다.

바주 씨의 가족 5명은 현재 넓고 밝은 장족식 아파트에 살고 있으며 매달 연금과 장수 노인 수당 등 1만 3000위안(221만 520원) 정도의 수입이 발생한다. 중국은 지금까지 약 1조 위안을 들여 800개 중점 건설 프로젝트를 실시해 왔고 시짱 기초인프라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했다. 주거 프로젝트는 230만 명의 시짱 농목민에게 새로운 집을 제공했고 2018년 시짱 농촌 주민들의 평균수입은 1만 1450위안을 기록했다. 시짱의 양식 생산량은 100만 톤 정도로 안정화되어 있으며 그중 보리 생산량은 81만 4000톤을 기록하고 있다.

바주 씨는 “시짱 사람들의 생활은 나날이 좋아지고 있다. 모든 사람이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바라고 있다”라고 말했다. 도농을 아우르는 의료•위생 서비스 네트워크가 형성되면서 사람들의 평균수명은 68.2세로 높아졌다. 그 밖에도 2000개 이상의 학교와 현대식 교육 시스템은 청장년 문맹률을 민주개혁 전 95% 이상에서 0.52%로 낮췄다. 또한 노동력인구의 평균 교육 연수는 8.6년으로 조사됐다.

현재 시짱의 각종 자연보호구의 면적은 34.35%에 달한다. 산림률은 12.14%까지 늘어났고 7개 도시의 공기질 우량률은 95% 이상에 달하고 있다. 2019년 시짱 지역의 절대적 빈곤 문제는 대부분 해결될 것이다.

더 조화롭고, 더 부유하고, 더 문명적이고, 더 친환경적인 시짱이 완성될 날은 머지않았다.

“나는 이미 오래 살았지만 아직 더 오래 살고 싶다. 나는 시짱의 사회 안정과 사람들의 행복을, 위대한 조국이 더욱 번영하길 기원한다.”

바주 씨는 99번째 생일 맞아 위 같은 소원을 빌었다. (번역: 은진호)

원문 출처: 신화망(新華網)

시짱 민주개혁 60주년 특집보도 더보기

출처: 인민망 한국어판  |  (Web editor: 吴三叶, 王秋雨)독자 제보

<저작권자(c) 인민망,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최신뉴스

많이 본 기사 종합

칼럼·인터뷰

0 / 0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때: 소서
    • [한국 언니의 슬기로운 베이징 생활] 지하철 타고 떠나는 아트 투어 지하철 3호선편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본격적으로 여름이 시작되는 때: 하지
    • 음량을 높여 창바이산 톈츠가 녹는 소리 들어보세요!
    • ‘우주 엘리베이터’ 장착한 선전도서관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본격적으로 여름이 시작되는 때: 망종
    • 로봇 ‘샤오타오’, 가상 학교 ‘졸업’ 후 시장 진출
    • [동영상으로 보는 명절 이야기] 쿠쿠가 들려주는 맛있는 이야기: 단오절
    • 인민망, 뮤직비디오 ‘실크로드의 희망찬 울림’ 공개
    • [한국 언니의 슬기로운 베이징 생활] 중국 공예미술관
    • [한국 언니 in 베이징] 먀오펑산 묘회 탐방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만물이 영글어가는 때: 소만
    • 중국 블록버스터의 ‘강력함’을 보여주다
    • 후난 느낌 물씬, 수상 비행기 타고 고금의 웨양 속으로
    • [호기심 천국 중국|특별 미식 리스트] 슈퍼에 가면 뭐가 있을까? ①
    • 5분 만에 알아보는 청두 월드게임
    • 중국 신에너지차, 글로벌 ‘팬덤’ 사로잡은 비결은?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낮이 길어지고 만물이 무성해지는 때: 입하
    • [정미 언니의 베이징 티타임] 중국 지역 특색 훑어보기: 제9화 산시
    • 中YTO, 3분마다 트랙터 1대 생산
    • 시진핑 주석과 푸젠성의 茶로 맺어진 인연
    • 오사카 엑스포 중국관 주제 영상 ‘중국인의 12시진’ 공개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봄비가 내려 백곡이 기름지는 때: 곡우
    • 인간-로봇 공동 도전…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마라톤 개막
    • 마법 같은 기술! 로봇이 2분만에 완성한 ‘너자 아트 라떼’
    • ‘동지이자 형제’ 호치민 생가서 느끼는 중국과 베트남의 깊은 우정
    • 산둥 허쩌서 즐기는 ‘아름다운 한상’! 러시아 언니도 감탄한 모란 연회
    • 짜릿함! 외국 청년, 미뤄강서 용선 경주 체험
    • 귀요미! 웨양시 ‘자이언트판다 스타 군단’ 외국 청년도 푹 빠져
    • 후난에 가면 후난 식으로! 외국인 기자가 만난 웨양시 미식 향연
    • 빨리 감기 아님! 감탄 나오는 중국인의 게살 손질 속도!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쑥내음 가득한 봄: 청명
    • [한국 언니 in 중국] 중국 허베이 청더 '탄소중립' 투어
    • 광시 ‘싼웨싼’ 축제, 밤을 밝히다
    • 우저우서 비물질문화유산 기예 배우며 문화 ‘보물’ 탐색
    • 광시 우저우, 부두 하역 작업 한창…‘차 선박의 고도’ 다시 항해를 시작하다!
    • 동남아까지 뻗은 명차…외국 청년도 감탄시키는 中 차
    • 스페인 청년의 텅현 비물질문화유산 사자춤 체험기 ‘짜릿해’
    • 도전! 스페인 청년과 비물질문화유산 빙취안 더우장 만들기 성공
    • 치러우 구경하고 미식 맛보며 스페인 청년과 떠나는 광시 우저우 투어
    • [한국 언니의 슬기로운 베이징 생활] 中 식목일 가족 친구들과 나무 심기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천지와 음양이 조화를 이루는 때: 춘분
    • 자오싱 둥자이, 구이저우의 아름다운 강산, 문화관광 발전의 새로운 장 열어
    • [나만 아는 중국 생활 꿀팁] 제2화: 소금에 찐 오렌지
    • 6개 ‘키워드’로 중국 양회 핫이슈 전망
    • [24절기 이야기] 잠들어 있던 모든 아름다운 것들이 깨어나는 때: 경칩
    • 멋지다! 스페인 청년, 광시 우저우서 인조 보석 만들어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본격적으로 봄이 시작되는 시간: 우수
    • [동영상으로 보는 명절 이야기] 쿠쿠가 들려주는 맛있는 이야기: 위안샤오제
    • [한국 언니 in 중국] 3대가 함께! 중국서 보낸 우리 가족 명절 이야기
    • 중국 전문가 되기: 중국 오성카드 받았어요!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4계절의 아름다운 시작: 입춘
    • [정미 언니의 베이징 티타임] 춘제 특집|태국은 음력설이 법정 공휴일이 아니라고?
    • 한국·중국·말레이시아, 명절 분위기를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곳은?
    • [정미 언니의 베이징 티타임] 춘제 특집|베트남도 음력 설을 보낸다고?
    • [영상] 더 나은 내일
    • [영상] 손잡고 미래를 향하여
    • 중국 지역 특색 훑어보기: 제8화 유구한 역사를 지닌 간쑤
    • 중국 지역 특색 훑어보기: 제7화 새로운 발견, 숨겨진 칭하이의 매력
    • [한국 언니의 슬기로운 베이징 생활] 혁신적인 다싱공항 도서관 몰입식 체험

시진핑캄보디아 · 방글라 순방

특집보도
인민망 소개|인민망 한국어판 소개| 피플닷컴 코리아(주) 소개|웹사이트 성명|광고안내|기사제보|제휴안내|고객센터

인민망 한국어판>>특별기획>>시짱 민주개혁 60주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