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수들이 국립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에서 훈련하고 있다. [1월 28일 촬영/사진 출처: 신화사] |
[인민망 한국어판 2월 8일] 지난 7일 오후 국립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빙쓰다이’(冰絲帶, 아이스 리본)에서 진행된 베이징 동계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1500m 종목 결승에서 네덜란드 선수 이레인 뷔스트가 1분 53초 28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는 ‘아이스 리본’에서 탄생한 세 번째 올림픽 신기록으로, ‘가장 빠른 얼음’이란 이름값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국립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아이스 리본’은 베이징 2022년 동계올림픽을 위해 유일하게 신축한 빙상 경기장으로, 스피드스케이팅 전 종목이 이 곳에서 열리고 총 14개 금메달이 걸려 있다. ‘아이스 리본’은 아시아 최대 빙상 트랙으로, 그 면적이 1.2만m²다. 경기장 설계 초기부터 순환이용, 종합이용, 영구이용의 녹색이념을 접목했다. 최첨단의 친환경 에너지절약형 제빙 기술인 이산화탄소 초임계 직냉각 기술을 도입해, 전 시스템의 탄소 배출이 거의 제로에 가깝고, 매년 200만 도 전기를 절약하며 제빙 효율도 대폭 높였다.
기존 빙상 경기장의 간접 제빙 기술은 최고 1.5℃-2℃의 얼음 온도차를 만들어내지만 신기술은 얼음 온도차를 0.5℃ 내로 유지해, 선수들이 몇 바퀴를 돌던 간에 얼음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선수들이 더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고, 또 ‘가장 빠른 얼음’으로 불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번역: 조미경)
원문 출처: 인민망/자료 출처: 신화망
출처: 인민망 한국어판 | (Web editor: 汪璨, 吴三叶)
인민망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0 / 0
숫자로 말하는 중국의 세계 방역 기여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룬 칭하이 무형문화유산의 정수 만끽
숫자로 읽는 ‘중국의 생물다양성 보호’ 백서
경례! 금메달 따지 않고도 신기록 세운 선수들
‘시짱의 기적’ 일궈낸 평화 해방 70년의 거대한 변화
허난 힘내라, 우리 함께 이겨내자!
단결하는 중국인, 폭우로 인한 어려움 함께 극복하기
[도표] 숫자로 보는 중국 백신
시진핑, 전면적인 샤오캉 사회 완성 선언
中,합성 칸나비노이드 물질 금지
하이난 자유무역항 시장 진입 완화 정책 발표
中 빈곤감소 성과…숫자 하나하나가 땀 흘린 노력의 결과!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 경축 행사 내용 발표
관상성과 효용성 가진 수목 알아보기
도표로 살펴보는 2021년 中 법률 제∙개정 중점 분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자랑스러운 여성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中 양회 관전 포인트 9대 키워드 퀵 리뷰
[도표] 2021년 중국 주요 목표
中 2020년 ‘정부업무보고’ 계량화 지표 임무 완수!
26개 알파벳으로 풀어본 중국 빈곤탈출 성공의 비밀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