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망|인민망 한국채널
2025년07월09일 

[인민망 평론] 전 세계 안보 위협하는 미국 ④ 군사위협 적반하장

인민망 한국어판 kr@people.cn
17:52, November 13, 2020
[인민망 평론] 전 세계 안보 위협하는 미국 ④ 군사위협 적반하장
[사진 출처: 인민망/무단 전재 금지]

[인민망 한국어판 11월 13일] 미국은 유엔에서 유언비어를 퍼뜨리며 말썽을 일으켰다.

제75회 유엔총회 군축 및 국제안보 담당 위원회 일반 토의에서 미국 대표는 코로나19 사태를 놓고 재차 중국을 비방하고, 러시아와 중국이 지속적으로 핵을 개발해 국제 평화와 안전이 이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고 망언했다.

이는 미국의 뻔한 ‘적반하장’(賊反荷杖) 술수다. 그들이 사실을 존중한다면 올바른 결론-미국이야말로 글로벌 안보와 안정에 불안과 혼란을 가져오는 ‘1등’이라는 올바른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트럼프 정권 이후로 미국은 ‘국가안보’를 내세우며 멋대로 일방주의를 추구하고 국제사회와의 약속도 외면한 채 종종 ‘약속 파기’로 제멋대로 굴고 있다. 군비관리 분야에서도 미국은 중거리핵전력조약(INF),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에서 탈퇴하고, 무기거래조약(ATT)도 파기하며 양·다자 군비관리조약 시스템에 뻔뻔한 실용적 태도를 취했다.

신전략무기감축협정(New START)의 기간이 곧 만료되는 상황에서 미국은 러시아 측이 여러 번 제안한 기간 연장 요구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며 질질 끌고 있다. 미국 국무원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9월 1일부터 2020년 3월 1일까지 러시아는 핵무기고 핵탄두 100개를 감축했지만 미국은 고작 3개 감축했다. 이러한 확실한 대비가 어처구니없을 뿐 아니라 미국의 성의가 얼마나 보잘것없는지 알 수 있다.

중거리와 중단거리미사일 전략에 대한 아무런 규제가 없으면 반 세기 이후 처음으로 등장한 두 개의 최대 핵무기고가 아무런 규제를 받지 않는 위험한 경지로 인류를 몰아 넣는 것인데, 미국이 바로 그 장본인이라 할 수 있다.

날로 커지는 군사적 야심을 위해 미국은 국방 예산을 지속적으로 제고하고 무력 전쟁에 심취해 있다. 2019년 미국 군비 예산이 7000여 억 달러에 달해 세계 군비 총 지출의 약 40%를 차지해 미국의 뒤를 잇는 10개 국가 군비의 총합을 넘어섰다. 이러한 막대한 군비로도 여전히 미국의 부푼 마음을 채울 수 없어 심지어 우방국에게 ‘터무니없는 돈을 요구하거나’ 보호비 인상으로 자국 군대를 먹여 살리고 핵 개발도 추진한다.

2020년 초 미국 정부는 국회에 7054억 달러의 2021년 재정연도 국방 예산안을 제출했는데, 이 중 핵 개발 관련 액수만 289억 달러에 달한다. 비정부기구 ‘국제 핵무기폐기 운동’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9개 핵보유국의 2019년 핵무기 지출액은 729억 달러로 미국 혼자서 약 354억 달러를 지출했는데, 글로벌 총액의 절반에 육박하고 지난 해보다 약 20% 증가한 것이다.

분명 미국 군사력은 이미 국가 안보 수호의 필요를 훨씬 넘어서는데, 왜 돈을 빌려서라도 군비를 높이는 것일까?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발달된 핵무기고를 분명 보유하고 있는데도 왜 거의 미친 듯이 핵 개발에 나서는 것일까? 이러한 일방적 행동은 국제 군비 경쟁을 부추겨 글로벌 전략 균형이 심하게 깨지고 충돌 위험도 높인다.

규칙 파괴자, 패닉 메이커 외에 미국은 ‘전쟁 애호가’로 불려 마땅하다. 미국은 건국 이후 240여 년 역사 속에서 16년간만 전쟁이 없었기 때문에 ‘세계 역사상 가장 전쟁을 좋아하는 나라’로 일컬어질 만하다.

아무 이유라도 미국의 전쟁 핑계가 될 수 있다. 트럼프도 이라크에 대규모 살상 무기가 없었다고 진실을 말한 바 있는데, 그래도 미국은 전쟁을 일으켰다. 2001년 이후 미국의 이라크, 리비아, 시리아 관련 군사 행동으로 80여 만 명이 죽고, 수천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스스로 자초한 비극에 미국은 선택적 ‘실명’으로 대했다. 그들은 가식적으로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하면서 다른 한쪽에서는 현지민을 ‘돕고’, ‘해방’한다는 핑계로 멋대로 전쟁을 벌였다. 하지만 그들의 이른바 ‘해방’은 무고한 시민들의 안정된 생활을 되돌릴 수 없는 곳으로 몰아넣고 있다.

미국이 연 ‘판도라 상자’ 안의 위협은 이런 것들에 그치지 않는다. 중국과 러시아의 포지션을 전략적 라이벌로 삼아 냉전 사고를 재현하고, 핵무기 비확산 문제에서는 이중잣대를 들이대며, 정치적 조작을 멋대로 벌인다. 또 아시아태평양, 중동유럽에 탄도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설치하고, 전략적 균형을 깨뜨리며, 독자적으로 생물무기금지협약(BWC)에 반대해 생물무기 군비관리를 방해한다. 그리고 여러 번 화학무기 폐기 시일을 늦추었고, 우주군을 조직해 별들의 전쟁에 나서며, 해커 제국을 건설해 사이버 공간을 장악하려 한다.

평화와 발전은 이 시대의 주제다. 상호존중, 공평정의, 협력윈윈의 신형 국제관계와 인류운명공동체 건설에 대한 인식이 날로 높아지는데, 미국은 오히려 역행하며 기어코 자국 ‘절대 안전’을 추구하며, 군사패권을 강화하고 세계를 독점하려 한다.

그럼 여타 국가의 불안정이 바로 미국의 이른바 ‘세계 평화’란 말인가? (번역: 조미경) 

원문 출처: 인민망(人民網)

[인민망 평론] 전 세계 안보 위협하는 미국 ① 정치패권 민심잃다

[인민망 평론] 전 세계 안보 위협하는 미국 ② 경제압박 세계위기

[인민망 평론] 전 세계 안보 위협하는 미국 ③ 문화침투 기만난무

오피니언 뉴스 더보기

출처: 인민망 한국어판  |  (Web editor: 李正, 王秋雨)독자 제보

<저작권자(c) 인민망,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최신뉴스

많이 본 기사 종합

칼럼·인터뷰

0 / 0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때: 소서
    • [한국 언니의 슬기로운 베이징 생활] 지하철 타고 떠나는 아트 투어 지하철 3호선편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본격적으로 여름이 시작되는 때: 하지
    • 음량을 높여 창바이산 톈츠가 녹는 소리 들어보세요!
    • ‘우주 엘리베이터’ 장착한 선전도서관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본격적으로 여름이 시작되는 때: 망종
    • 로봇 ‘샤오타오’, 가상 학교 ‘졸업’ 후 시장 진출
    • [동영상으로 보는 명절 이야기] 쿠쿠가 들려주는 맛있는 이야기: 단오절
    • 인민망, 뮤직비디오 ‘실크로드의 희망찬 울림’ 공개
    • [한국 언니의 슬기로운 베이징 생활] 중국 공예미술관
    • [한국 언니 in 베이징] 먀오펑산 묘회 탐방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만물이 영글어가는 때: 소만
    • 중국 블록버스터의 ‘강력함’을 보여주다
    • 후난 느낌 물씬, 수상 비행기 타고 고금의 웨양 속으로
    • [호기심 천국 중국|특별 미식 리스트] 슈퍼에 가면 뭐가 있을까? ①
    • 5분 만에 알아보는 청두 월드게임
    • 중국 신에너지차, 글로벌 ‘팬덤’ 사로잡은 비결은?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낮이 길어지고 만물이 무성해지는 때: 입하
    • [정미 언니의 베이징 티타임] 중국 지역 특색 훑어보기: 제9화 산시
    • 中YTO, 3분마다 트랙터 1대 생산
    • 시진핑 주석과 푸젠성의 茶로 맺어진 인연
    • 오사카 엑스포 중국관 주제 영상 ‘중국인의 12시진’ 공개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봄비가 내려 백곡이 기름지는 때: 곡우
    • 인간-로봇 공동 도전…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마라톤 개막
    • 마법 같은 기술! 로봇이 2분만에 완성한 ‘너자 아트 라떼’
    • ‘동지이자 형제’ 호치민 생가서 느끼는 중국과 베트남의 깊은 우정
    • 산둥 허쩌서 즐기는 ‘아름다운 한상’! 러시아 언니도 감탄한 모란 연회
    • 짜릿함! 외국 청년, 미뤄강서 용선 경주 체험
    • 귀요미! 웨양시 ‘자이언트판다 스타 군단’ 외국 청년도 푹 빠져
    • 후난에 가면 후난 식으로! 외국인 기자가 만난 웨양시 미식 향연
    • 빨리 감기 아님! 감탄 나오는 중국인의 게살 손질 속도!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쑥내음 가득한 봄: 청명
    • [한국 언니 in 중국] 중국 허베이 청더 '탄소중립' 투어
    • 광시 ‘싼웨싼’ 축제, 밤을 밝히다
    • 우저우서 비물질문화유산 기예 배우며 문화 ‘보물’ 탐색
    • 광시 우저우, 부두 하역 작업 한창…‘차 선박의 고도’ 다시 항해를 시작하다!
    • 동남아까지 뻗은 명차…외국 청년도 감탄시키는 中 차
    • 스페인 청년의 텅현 비물질문화유산 사자춤 체험기 ‘짜릿해’
    • 도전! 스페인 청년과 비물질문화유산 빙취안 더우장 만들기 성공
    • 치러우 구경하고 미식 맛보며 스페인 청년과 떠나는 광시 우저우 투어
    • [한국 언니의 슬기로운 베이징 생활] 中 식목일 가족 친구들과 나무 심기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천지와 음양이 조화를 이루는 때: 춘분
    • 자오싱 둥자이, 구이저우의 아름다운 강산, 문화관광 발전의 새로운 장 열어
    • [나만 아는 중국 생활 꿀팁] 제2화: 소금에 찐 오렌지
    • 6개 ‘키워드’로 중국 양회 핫이슈 전망
    • [24절기 이야기] 잠들어 있던 모든 아름다운 것들이 깨어나는 때: 경칩
    • 멋지다! 스페인 청년, 광시 우저우서 인조 보석 만들어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본격적으로 봄이 시작되는 시간: 우수
    • [동영상으로 보는 명절 이야기] 쿠쿠가 들려주는 맛있는 이야기: 위안샤오제
    • [한국 언니 in 중국] 3대가 함께! 중국서 보낸 우리 가족 명절 이야기
    • 중국 전문가 되기: 중국 오성카드 받았어요!
    • [동영상으로 보는 24절기 이야기] 4계절의 아름다운 시작: 입춘
    • [정미 언니의 베이징 티타임] 춘제 특집|태국은 음력설이 법정 공휴일이 아니라고?
    • 한국·중국·말레이시아, 명절 분위기를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곳은?
    • [정미 언니의 베이징 티타임] 춘제 특집|베트남도 음력 설을 보낸다고?
    • [영상] 더 나은 내일
    • [영상] 손잡고 미래를 향하여
    • 중국 지역 특색 훑어보기: 제8화 유구한 역사를 지닌 간쑤
    • 중국 지역 특색 훑어보기: 제7화 새로운 발견, 숨겨진 칭하이의 매력
    • [한국 언니의 슬기로운 베이징 생활] 혁신적인 다싱공항 도서관 몰입식 체험
인민망 소개|인민망 한국어판 소개| 피플닷컴 코리아(주) 소개|웹사이트 성명|광고안내|기사제보|제휴안내|고객센터

인민망 한국어판>>오피니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