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망|인민망 한국채널
2024년06월07일 

항저우의 정취를 느끼다

인민망 한국어판 [email protected]
14:49, June 07, 2024

1. 고대 문명이 꽃피운 곳

Gen Z Media Camp 다섯째 날, 우리는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 일대를 탐방하며 항저우의 과거와 현재, 전통과 문화를 알아보았다. 오전에 방문한 량주(良渚, 양저) 박물관에서는 기원전 3300년-기원전 2300년 경에 이 지역에서 번성한 신석기 시대 량주 문화를 자세히 볼 수 있었다. 이 지역은 드넓은 평지와 풍부한 물을 바탕으로, 양쯔강 하류에서 벼농사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초기 도시 국가를 형성하였다. 우리는 박물관에서 과거 량주 사람들이 옥으로 만든 장식품과 무덤에 부장품으로 넣은 도끼 등의 유물들을 살펴보면서, 그들의 사회 계급 제도와 공예기술을 엿볼 수 있었다. 또한 셔틀버스를 타고 이동하면서 들판 위에 재현해놓은 당시 건축물을 볼 수 있었는데, 신석기 시대 량주의 도시 경관과 주민들의 생활방식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다.

2. 아름답고 소박한 공동체 마을

오후에는 징산(徑山, 경산) 근처에 위치한 작은 공동체 마을인 샤오구청(小古城, 소고성)을 방문했다. 샤오구청은 고대 유물이 발견되면서 인지도가 상승했고, 이를 계기로 도시 경관을 개선하여 관광지로 발전한 독특한 마을이었다. 그들은 집 외관을 예쁘게 꾸미고 담벼락을 낮추어 아기자기한 마을 경관을 조성했으며, 담벼락 곳곳에 작은 유리창을 설치해 그 안에 유물을 전시하여 마을이 역사와 함께 살아 숨 쉬는 듯한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주민들은 사진에서처럼 회의 장소에서 다 같이 모여 마을 일을 결정하며, 돈 대신 포인트로 생활필수품을 구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마을 곳곳에는 주민들이 재배한 작물을 진열한 가판대를 볼 수 있었다. 돌담길을 따라 걸으며, 녹음과 어우러지는 고즈넉한 공동체 마을의 정취를 느낄 수 있었다.

3. 중국 찬차 문화의 본고장

또한 징산은 중국의 찬차(禪茶) 문화가 시작된 곳으로 유명하다. 우리는 버스를 타고 차 박물관을 방문해 중국의 다도를 직접 체험했다. 설명에 따르면, 중국의 다예 문화는 남쪽에서 시작되었다. 1000년도 더 전에, 중국의 “다성(茶聖)”으로 불리는 육우(陸羽)가 차에 대한 유명한 저서를 남겼다. 한 일본 승려가 중국으로 건너와 6년 동안 사찰에 머물면서 그 차 문화를 배웠고, 찻잎과 다기 등 모든 재료를 가지고 일본으로 돌아가 차 문화를 전파했다고 한다. 박물관에서 다예 전문가는 찻물을 세게 저어 거품이 산처럼 봉긋하게 올라오는 시범을 보였고, 우리는 그를 따라 직접 다예를 체험해 보며 손등 위에 거품을 올려두고 맛을 보았다. 혀끝에 느껴지는 차의 맛이 씁쓸하고도 깊었고, 전통적인 마을의 분위기와 잘 어우러졌다. 오늘 하루 량주 박물관에서 고대 문명을 체험하고, 징산에서 전통을 보존하며 살아가는 주민들의 모습을 보면서, 항저우라는 지역의 고풍스러운 정취를 느낄 수 있었다.

글: 중일한 Z세대 미디어 스터디투어 참가자 김소정(한국)

중한교류 뉴스 더보기

출처: 인민망 한국어판  |  (Web editor: 李泽, 吴三叶)독자 제보

<저작권자(c) 인민망,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최신뉴스

많이 본 기사 종합

칼럼·인터뷰

0 / 0

    • 선수핑기지 탐방, 자이언트판다 ‘푸바오’의 일상 보기
    • [영상] 30초 몰입식 체험으로 보는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는가’
    • 중일한 Z세대 미디어 스터디투어, 서우강위안 산업단지 참관
    • [영상] 1인이 동시에 12대 컨테이너 차 운전한다고? 가능해!
    • [한국 언니의 슬기로운 베이징 생활] 베이징 꽃놀이 지도 제2편 올림픽삼림공원
    • 中 전국 근로자 마라톤대회 개막, 멋진 코스 위 달려!
    • [영상] 싼싱두이, 4천 년 찬란한 문명 만나기
    • [영상] 양저, 5천 년 문명 서광 보기
    • [영상] 은허, 3천 년 전 문명 메아리 듣기
    • [영상] 허난 안양, 날아오를 준비 마친 고대 도시
    • [영상] 랴오닝 선양 산업로봇 움직임에 감탄! “민첩한데 부드러워”
    • 언어와 와인…中-헝가리 청년, 문화 교류 가교 역할 ‘톡톡’
    • [정미 언니의 베이징 티타임] 중국 지역 특색 훑어보기: 제2화 8D 매직시티 충칭
    • 세르비아 유학생 “중국과 더 많은 인연을 맺기를 기대한다”
    • [영상] 친구는 시간의 결실…中-세르비아 우정이 시간이 흐를수록 견고해지는 비결
    • [영상] 봉주르, 중국! 길거리에 시진핑 방문 환영 인파로 가득
    • 중국-프랑스 우호의 상징 ‘연’…수교 60주년 맞아 ‘훨훨’
    • 중국-프랑스 문명 상호 교류의 상징 ‘논어 길라잡이’
    • [한국 언니 in 중국] 한푸 입고 천년 고도 뤄양의 고금 융합 매력 체험
    • [영상] ‘푸바오’와 엄마의 따스한 일상 “엄마 때문에 너무 행복해”
    • [영상] ‘푸바오’와 ‘아이바오’의 유쾌한 ‘모성애와 효도’ 일상
    • [영상] 량주 국가고고유적지공원 탐방
    • ‘푸바오’는 할아버지를 좋아해! 할아버지 곁을 떠나지 않는 ‘푸바오’
    • [영상] 中 량주박물관 30초 탐방
    • [영상] ‘푸바오’ ‘알람소리’ 출시! ‘푸바오’ 목소리 신기하죠?
    • 중국국제소비품박람회서 느끼는 ‘스피드와 열정’
    • 한국 며느리, 허베이 스자좡서 중국 전통문화 체험
    • [AI가 알려주는 중국 경제 키워드] ‘5% 안팎’
    • 톱스타 ‘푸바오’ 먹방 대방출! 군침이 꿀꺽~
    • [한국 언니 in 중국] 1초 만에 변신! 한국 언니와 함께 한푸 입고 당대로 시간 여행
    • [영상] ‘푸바오' 귀국, 한국서 울음바다 된 배웅길
    • [한국 언니 in 중국] 한푸 입고 사람 냄새 가득한 뤄양 리징먼 스쯔제 거닐기
    • [동영상] 뤄양박물관 문물 이모티콘 감상
    • [천사의 귀환] 자이언트판다 ‘푸바오’의 귀향 기록-제1화 ‘푸공주’의 한국 생활 일기
    • [한국 언니의 베이징 티타임] 중국 지역 특색 훑어보기: 제1화 푸바오의 고향 쓰촨
    • [한국 언니의 슬기로운 베이징 생활] 베이징 꽃놀이 지도 제1편 스리푸 복숭아꽃
    • [영상] 건강은 운동에 달려 있다! 푸바오 따라 핫둘핫둘
    • [영상] 외국 언니는 갑골문 몇 개 맞출 수 있을까?
    • [영상] 인쉬박물관 30초 탐방으로 상(商)문명 체험
    • [영상] 푸바오 성장일기, 판다계의 슈퍼스타
    • 원격 작업도 ‘척척’…산업 발전 가속페달 밟는 中 광시 류저우 기계 제조업체
    • 광시 먀오족촌 찾아 ‘먀오족 처녀’로 변신한 외국인들
    • [영상] 광시 먀오족촌 찾아 ‘먀오족 처녀’로 변신한 외국인들
    • [AI가 알려주는 중국 경제 키워드] 새로운 질적 생산력
    • 중화문명이란 무엇인가! ‘CHN’ 홍보영상 발표
    • [양회] 中 정부업무보고,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 5% 안팎
    • 집으로 돌아오는 ‘푸바오’, 아쉬운 韓 팬들과 설레는 中 팬들
    • [추억의 앨범] 보온병에서 체리까지…중국인 녠훠 변천사 한눈에
    • [한국 언니의 슬기로운 베이징 생활] 도전! 200위안으로 베이징 녠훠 시장 쇼핑
    • [신년기획] 입가에 맴도는 ‘용’자 사자성어 ⑩龙飞凤舞
    • [동영상] 산둥 차오현, 중국의 美 계승, 한푸 유행 선도
    • [신년기획] 입가에 맴도는 ‘용’자 사자성어 ⑨画龙点睛
    • [신년기획] 입가에 맴도는 ‘용’자 사자성어 ⑧人中龙凤
    • [언니의 슬기로운 베이징 생활] 베이징서 제일 깊은 지하철…캠퍼스 생활 맛보기
    • [신년기획] 입가에 맴도는 ‘용’자 사자성어 ⑦望子成龙
    • [동영상] ‘한푸의 고향’ 산둥 차오현, 넘치는 한푸의 열기
    • 취안저우 홍보영상 ‘인가와 선경의 도시’ 공개
    • [신년기획] 입가에 맴도는 ‘용’자 사자성어 ⑥来龙去脉
    • [동영상] 푸젠 취안저우에서 전 세계로 향한 목범선 ‘푸촨’
    • [신년기획] 입가에 맴도는 ‘용’자 사자성어 ⑤鱼龙混杂
인민망 소개|인민망 한국어판 소개| 피플닷컴 코리아(주) 소개|웹사이트 성명|광고안내|기사제보|제휴안내|고객센터

인민망 한국어판>>중한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