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망|인민망 한국채널
2022년04월27일 

中 푸젠성, 외자기업 몰려드는 비결은?

인민망 한국어판 kr@people.cn
17:39, April 27, 2022

코로나19 확산에도 불구하고 중국 동남부 연해 지역 푸젠(福建)성에 외자기업의 투자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하시 노부오 일본전기초자(샤먼·廈門) 총경리는 "중국 디스플레이 업계의 전망이 밝다"며 일본전기초자는 샤먼시에 9억 5000만 위안(약 1810억 1300만 원)을 투자한 4기 프로젝트를 이번 달 안에 착공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4기 프로젝트가 완공돼 생산에 들어가면 생산·가공 작업을 직접 진행할 수 있어 산업망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고 덧붙였다.

"디스플레이 업계는 중국 시장에서 점점 성장하고 있다"는 게 오하시 총경리의 설명이다. 그는 과거 디스플레이 생산은 주로 한국과 일본 등 국가에 집중됐지만, 현재 중국의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점유율은 60%가 넘는다고 설명했다.

디스플레이 업계뿐만 아니라 다른 업계의 외자기업도 푸젠성 시장을 낙관적으로 전망하며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중국 경제 1분기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실제 사용 외자 규모는 3798억 7000만 위안(72조 365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6% 증가해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갔다.

특히 같은 기간 푸젠성의 실제 사용 외자 규모는 지난해보다 39.9% 늘어난 190억 5000만 위안(3조 6290억 원)에 달했다.

푸젠성 누적 투자금이 1억 위안(190억 원) 이상인 기업은 31곳에 달했고 이들의 투자금액은 50.9% 증가해 푸젠성의 실제 외자 사용의 36.2%포인트를 끌어올렸다.

외자기업의 투자가 활발한 데는 넓은 시장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도 한몫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잡다단한 정세 속에서 각 지역은 특별 전담팀을 구성해 외자기업의 경영 환경 최적화에 나서고 있다.

린톈성(林天省) 중국(푸젠)자유무역시험구 샤먼구역관리위원회(이하 샤먼자유무역위원회)의 투자촉진센터 부주임은 "우리는 자유무역구 시장감독관리국 등 부처와 협력해 비즈니스 투자환경을 개선하고 심사 과정을 최적화해 기업의 경영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1분기 샤먼자유무역구역의 신규 등록 외자기업은 36곳으로 등록자본금은 22억 6300만 위안(4307억 6205만 원)에 달했다. 또 이들의 실제 사용 외자 규모는 8억 6300만 위안(1642억 7205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린 부주임은 샤먼자유무역위원회 특별전담팀이 홍콩계 기업인 창푸리(昌富利)유한공사의 증자를 추진했다며 하루 안에 소득세 이연 납부와 상업 등기 변경 등을 처리할 수 있게 해 2억 6000만 위안(495억 2740만 원)의 외자 투자를 이뤄냈다고 전했다. 이 기업은 샤먼자유무역구역 운영 이래 1억 위안(190억 원) 이상의 이익을 투자금으로 전환한 첫 외자기업이 됐다.

창푸리유한공사 측은 "샤먼자유무역위원회 등 부처가 이연 납세 정책 혜택을 제때 받을 수 있게 도움을 줬다"며 "역외투자자의 역내 투자 신뢰를 크게 높였다"고 설명했다.

원문 출처: 신화사

경제 뉴스 더보기

출처: 신화망  |  (Web editor: 實習生, 王秋雨)

인민망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최신뉴스

많이 본 기사 종합

칼럼·인터뷰

0 / 0

    • [세계 책의 날 특집] 시진핑 주석과 함께 세계를 읽다
    • [동영상] 봄기운 따라 바다링 만리장성 꽃구경
    • [동영상] ‘봄을 향해 달리는 기차’…베이징에서 가장 아름다운 철도
    • 실사판 ‘빙둔둔’, 눈 속에서 장난치는 야생 자이언트판다
    • [동영상] ‘블루아이스’ 비경 연출한 中 최대 내륙 담수호
    • [동영상] 패셔니스타 할머니의 화양연화
    • [정미 언니의 베이징 티타임] 인민대표대회 대표는 어떻게 선출될까?
    • [정미 언니의 베이징 티타임] 제1화 ‘上火’가 대체 뭘까?
    • [동영상] 칭하이 황중, 위안샤오제에 활짝 핀 ‘쑤유화’
    • [동영상] 3mm 연필심에 새긴 동계올림픽 마스코트 ‘빙둔둔’ 영상 화제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어린이들과 "함께하는 미래"
    • [한국 언니 in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 속 춘절맞이
    • [중국 新청년] Z세대 몐쑤 수공예자 “저는 예술가입니다”
    • 신비로워! 구이양에 다시 나타난 ‘하늘 도시’
    • [중국을 읽다③] 제2화: 정뤄린과 자크 셰미나드의 대담 “인민 사랑이 중국 공산당의 성공 비밀”
    • [중국을 읽다③] 제1화: 중국 공산당은 무엇을 잘했을까?
    • [중국을 읽다③] 제3화: 린쑹톈과 오티노의 대담 “서방의 정치체계는 진정한 민주를 실현했나?”
    • 중국 산사 열매 요리 레시피 4종
    • [연말 특집] 2021년 중국 각지 대자연의 풍경 감상
    • [동영상] 징포호와 함께 살아가는 어민 이야기
    • 중일한 협력사무국 사무총장 “공동 문화 가치에 입각해 3국 협력 촉진”
    • 둔황 막고굴 복원 전문가, “우리 문화재 가치를 후대에 전해야”
    • 발해 말갈수를 굳게 지켜온 전승자
    • [동영상] 청두 하계유니버시아드 개막 D-200
    • [제100화] 인민망 매일 3분 고사성어 ‘제심협력(齊心協力)’
    • [동영상] 호랑이와 20년 같이한 ‘호랑이 어머니’의 이야기
    • [동영상] 신장 가축 월동을 위한 위풍당당한 대이동
    • [동영상] 돈황의 영원한 아름다움
    • 눈사람에 틀니 끼운 치과 의사…“영혼 불어넣어!”
    • [동영상] 중국풍 물씬 문화 공연 ‘집-중양절’
    • [제4회 CIIE 탐방] 화장과 기술의 만남, 어디까지 예뻐질 수 있을까?
    • [동영상] 50년, 중국 답안 보기!
    • [제4회 CIIE 탐방] 탁구 올림픽 금메달 선수인 리샤오샤와 대결하는 로봇
    • [동영상] 푸젠 무형문화재, 천년 역사의 조판인쇄술
    • 베이징 동계올림픽 100일 카운트다운 홍보영상 공개
    • [동영상] 간쑤성 둔황 1만 2천여 장 ‘거울’…연간 3.9억㎾h 전력 생산
    • [중국 新청년] 스이룽, 운동으로 자유롭게, 열정으로 꿈 이뤄
    • [동영상] ‘세계 용마루의 명주, 시닝’과의 만남
    • 귀여워! 윈난 룽링서 첫 발견된 아삼마카크 원숭이
    • 2020 두바이엑스포 중국관 ‘인류운명공동체 구축, 혁신과 기회’
    • 中 34세 침묵의 바리스타의 하루…“오늘도 화이팅”
    • 中, 옥수수밭에 나타난 자이언트판다 검진 후 구조센터행
    • [Vlog] 기묘한 중국 국제서비스무역교역회 여행
    • 한때 멸종됐던 中 희귀식물 윈난 가오리궁산에 만발
    • [동영상] 적외선 카메라에 포착된 국가 2급 보호 동물 은계의 구애 장면
    • [중국 新청년] 베이징에 마술바 3곳 오픈…멋지다!
    • 귀여워! 쓰촨 스취현 두 마리 마눌들고양이 새끼 출현
    • [중국을 읽다②] 제3화: 중국, 위협일까 기회일까
    • [중국을 읽다②] 제2화: 중국공산당 vs 서방 국가의 정당 어떻게 다른가
    • [동영상] 시짱 70년, 살기 좋게 변한 설역 고원
    • [동영상] 귀여움 뿜뿜! 집으로 돌아간 아기 코끼리의 첫 연주
    • [중국을 읽다②] ‘신식민주의’? 어떻게 감히 우리에게 이렇게 경고할 수 있나
    • ‘기원 조사 테러리즘’을 위한 생생한 각본
    •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 사무총장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 기대”
    • [제88화] 인민망 매일 3분 고사성어 ‘대재소용(大材小用)’
    • [동영상] 네이멍구, 초원 속 귀여운 코사크여우
    • [동영상] 신장 투루판, 포도와 미주의 고향
    • [인민망 다큐] ‘신장, 우리의 이야기’ 제5화: 민생
    • [인민망 다큐] ‘신장, 우리의 이야기’ 제4화: 예술
    • [인민망 다큐] ‘신장, 우리의 이야기’ 제3화: 수확
인민망 소개|인민망 한국어판 소개| 피플닷컴 코리아(주) 소개|웹사이트 성명|광고안내|기사제보|제휴안내|고객센터

인민망 한국어판>>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