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망|인민망 한국채널
2021년04월26일 

[핫이슈] 2017년 중국 출산인구 수는? 최신 데이터로 현황 분석

인민망 한국어판 kr@people.cn
10:25, January 25, 2018

[인민망 한국어판 1월 25일] 2015년 10월 29일, 중국 공산당 18기 5중전회가 베이징(北京)에서 막을 내린 당일 ‘전면 한 부부 두 자녀 출산 정책 시행’이 발표되어 중국은 출산 관련 기본 국책을 유지하되 35년간 시행한 ‘한 자녀 정책’ 시대와 이별을 고했다.

BBC등 외신 보도

2013년 18기 3중전회에서 ‘독자 두 자녀(부모가 독자인 경우 두 자녀 허용)’ 정책을 발표하고, 2015년 18기 5중전회에서 ‘전면 두 자녀’ 정책을 발표하면서 중국 인구정책은 점차 개방 추세로 바뀌며 전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현재 ‘전면 두 자녀’ 정책이 2년간 시행되었지만 출생 인구 수는 오히려 국가 해당 부처의 당초 예측보다 낮았다.

1월 18일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한 해 중국 출산 인구가 1723만 명, 인구 출산율이 12.43‰, 2016년과 비교해 이 두 지표 모두 하락했다.

그렇다면 두 자녀 출산 정책 이후 왜 자녀에게 남동생 혹은 여동생을 만들어 주고 싶어 하는 부모들이 생각보다 많지 않을까?

국가위생계획생육위원회의 출산계획 지도처 책임자는 양육 비용이 높고, 탁아 서비스가 열악한 데다 여성들의 직장생활 압력 등이 출산에 대한 의지가 상대적으로 낮은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사진출처: 섭도망(攝圖網, 내용은 사진과 무관)

하지만 ‘매일경제신문’(위챗 공식계정: nbdnews)은 ‘남아선호’ 사상이 점차 사라지면서 사회 분위기가 평등화되고, 중국의 성비도 균형을 점차 찾으면서 ‘남다여소(男多女少)’ 국면이 점차 뚜렷하게 개선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출생인구 하락, 노령화 가속

2018년 1월 18일, 국가통계국 닝지저(寧吉喆) 국장은 국무원 신문판공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닝 국장은 2017년 말까지 중국 대륙 인구[31개 성, 자치구, 직할시, 중국 인민해방군 현역 군인은 포함하되, 홍콩, 마카오 특별행정구와 타이완(臺灣)성 및 해외 교민 불포함]가 13억 9008만 명으로 작년 말보다 737만 명 증가했다고 소개했다.

한 해 출생인구가 1723만 명, 인구 출생률이 12.34‰, 사망인구는 986만 명, 인구 사망률은 7.11‰로 나타나 인구 자연성장률이 5.32‰를 기록했다.

2017년 출생인구가 2016년에 비해 63만 명 감소하고, 인구 출생률도 동반 하락했다. 2016년 중국 인구 출생률은 12.95‰로 나타났다.

성비 구조를 보면, 남성 인구 7억 1137만 명, 여성 인구 6억 7871만 명, 총 인구 성비가 104.81(여성을 100으로 기준)로 나타났다.

사진출처: 섭도망(攝圖網, 내용은 사진과 무관)

아울러 ‘매일경제신문’(위챗 공식계정: nbdnews)은 국가통계국 데이터를 통해 중국 인구 노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노동연령인구의 비중이 점차 하락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2017년, 만16세~59세 노동연령인구가 9억 199만 명으로 전체의 64.9%를 차지했고, 이와 비교해 2016년 전국 노동연령인구가 9억 747만 명으로 전체의 65.6%를 차지했다.

두 자녀 출산 의지 꺾는 양육비

2015년 10월 30일, 국가위생계획생육위원회 왕페이안(王培安) 부주임은 ‘전면 두 자녀’ 정책을 설명하면서 전면 두 자녀 정책 조건에 맞는 부부가 약 9000만 쌍으로 정책이 시행되면 몇 년간 중국 출생인구가 어느 정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해 절정 시기가 되면 한 해 출생인구가 200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데이터 출처: <전면 두 자녀 정책 시행 인구 변동 추산 연구> 편집장 왕페이안(王培安)

하지만 2016년과 2017년 2년간 중국 출생인구는 1800만 명에도 못 미쳐 기대한 ‘전면 두 자녀’ 정책 후 출산 절정시점은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렇다면 왜 두 자녀 정책 후에 출산율이 기대에 못 미치는 걸까?

1월 18일, 국가위생계획생육위원회의 출산계획 지도처 책임자는 출산 의지와 행동이 경제 사회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며, 조사 결과 재출산 계획을 세우지 않는 주요 요인으로 높은 양육비, 열악한 탁아 서비스, 직장 여성에 대한 압력이 있다고 밝혔다.

‘매일경제신문’(위챗 공식계정: nbdnews)은 2016년 3월, 쓰촨(四川)성 통계국 인구 취업처에서 전성의 6000명을 대상으로 두 자녀 출산을 원하는지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원하지 않는 이유 질문에 응답자들이 ‘높은 양육비와 높은 경제적 부담’을 67.3%로 가장 많이 꼽았다는 사실을 알았다.

2005년에 중국사회과학원의 저명한 사회학자 쉬안치(徐安琪)가 ‘자녀의 경제비용: 전환기의 구조변화와 최적화’란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서 직접적인 경제 비용 측면에서 0세~16세까지 자녀 양육비가 25만 위안 정도이며, 자녀가 대학에 들어갈 경우의 지출은 30세 전 미혼 자녀를 기준으로 49만 위안 정도로 추산됐다. 이 밖에 이 49만 위안은 임신과 출산기 지출, 임신과 출산 및 양육 과정에서 부모들의 휴직, 이직 감소, 승진 등의 자가발전에 손해를 입은 간접적 경제비용은 포함하지 않았다.

2016년, ‘남방도시보(南方都市報)’는 사회과학원에서 발표한 이 보고서를 토대로 인플레이션으로 중국의 대도시 평균 한 자녀 양육비가 70만 위안으로 인상되었다고 추산했다.

2017년 양회 기간, 다수의 전인대 대표와 정협위원들도 보조금, 감세 등 다양한 방식으로 두 자녀 장려 정책을 건의했다.

‘매일경제신문’(위챗 공식계정: nbdnews)은 다수 언론에서 직장 여성들의 재출산에 대한 걱정을 해소하고, 또 출산으로 인한 직장 내 압력을 줄이는 것 또한 두 자녀를 촉진하는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라고 피력한 사실을 알았다.

중국 성비 점차 균형화

2017년 말, 중국 남성 인구 7억 1137만 명, 여성 인구 6억 7871만 명, 인구 성비가 104.81로 나타났다.

국가통계국의 이전 데이터에 따르면, 2013년 중국 남성 인구 6억 9395만 명, 여성 인구 6억 6009만 명, 인구 성비가 105.13이었다. 이 성비가 2014년 하락해 105.06을 기록했고, 2015년에 또 0.04 하락해 2016년 말에는 104.98까지 떨어졌다.

이러한 추세를 통해 중국의 ‘남다여소’ 인구 압력이 점차 완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국제적으로 공인한 성비 정상 범주는 103~107이다. 중국 인구 성비가 5년 연속 정상 범주에 속하고 점차 하락세를 이어갔다.

‘매일경제신문’(위챗 공식계정: nbdnews)은 2017년 1월 25일, 국가위생계획생육위원회가 <‘13•5’ 전국출산계획사업발전규획>을 발표하고 출생인구 성비 편향 종합대책안을 제안한 사실에 주목했다. (번역: 조미경)

원문 출처: 매일경제신문(每日經濟新聞) 위챗 공식계정

출처: 인민망 한국어판  |  (Web editor: 實習生, 王秋雨)

인민망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최신뉴스

많이 본 기사 종합

칼럼·인터뷰

0 / 0

    • [동영상] 中 구이저우 묘족 손님맞이 풍습…‘직접 빚은 술로’
    • [동영상] 항저우 ‘아시안게임 3관’ 완공, 2개 ‘세계최대’ 달성
    • [동영상] 中 신형 푸싱호 스마트 고속열차 내부 모습 공개
    • [동영상] 봄나들이 가요! 항공 사진으로 보는 시후호의 풍경
    • [동영상] 중국 윈난 바오산, 보호종 뿔논병아리 ‘짝짓기 춤’ 진풍경 포착
    • [동영상] 기계화! 고효율! 신장 220만 묘 기계 면화채집 풍경
    • [동영상] 장자커우 동계올림픽 경기장 완공
    • [동영상] 충칭 스주, ‘날카로운 칼날’ 같은 고속도로 덕에 유명해진 마을
    • 양회에서 화제가 된 ‘귀여운 고양이’…치롄산국가공원의 ‘스타’들
    • 멸종위기 붉은목코뿔새 윈난 잉장서 나타나
    • [동영상] 중국의 2035를 수놓다
    • 中 텅충 저명 옥 공예사의 비취 감별법
    • 징강아오, 후선광 구간 자기부상열차 규획 공개…광저우에서 베이징까지 3.3시간
    • 박병석 한국 국회의장 인민망 신년 인사
    • 정세균 한국 국무총리 인민망 신년 인사
    • 양승조 한국 충남도지사 인민망 신년 인사
    • 이재명 경기도지사 인민망 신년 인사
    • 도종환 국회의원 인민망 신년 인사
    • 몽환의 베이하이습지, ‘수상 초원’
    • 김준형 국립외교원장 “한중, 미래 같이 가야 할 동반자”
    • 변성 텅충, 극지 등대 생태 보고
    • [한국언니 in 베이징] ‘고궁 비밀탐구 편’ ⑤: 건청문 앞의 귀여운 황금사자
    • [영상] 하드코어 에너지! 중국 로켓군 2021년 모습
    • 1인 시험장! 다롄 코로나19 무증상 감염자 석사시험 응시
    • 녹색 발전 이념 이행, ‘공원 도시’ 쑤이닝
    • 싼장위안국가공원 고화질 파노라마 영상 최초 발표
    • 20개 숫자로 되새겨 보는 2020
    • 원저우, ‘창업 도시’의 ‘비즈니스 성공 비결’ 탐구
    • 용문석굴, 중국 불교 석굴 예술의 최고봉
    • [특집 인터뷰] 안민석 의원 “한중, 협력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해야”
    • 손 끝의 비물질문화유산…중국전통문화의 보물 ‘구수(甌繡)’
    • ‘도시 이야기’ 언스, 다채로운 풍경과 걸출한 인재 배출지
    • [한국 언니 in CIIE] 비행 운전, “나는” 순시선…직접 체험해 보는건 어떨까?
    • [한국 언니 in CIIE] "제2화" 미래에는 어떤 자동차 탈까? 바로 여기 다 모여있다!
    • [한국 언니 in CIIE] "제1화" 하이테크놀로지 의료 신기 탐구
    • [한국 언니 in CIIE] 제3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 개막 임박…현장 속으로
    • 양충모 새만금개발청장 “새만금, 한국의 미래 중심지로 개발할 것”
    • 쓰촨 쑤이닝의 정취…천쯔앙의 고향을 탐방하다
    • [영상] 中 자율주행 택시 체험 현장…스마트생활 시대 도래
    • 경탄! 중국 가을 아름다움의 끝은 어디일까?
    • 화수피 문화, 자연과 예술의 아름다운 융합
    • [특집 인터뷰] 문진석 의원 “설중송탄의 한중 관계 더욱 발전해야”
    • 中 칭하이, 친환경 에너지 발전 고지
    • 평화로운 고향으로 귀향한 영웅들
    • 제7차 중국인민지원군 열사 유해 안장식
    • [특집 인터뷰] 우상호 의원 “동북아 평화 유지 위해 중국과 더욱 긴밀해져야”
    • [특집 인터뷰] 윤영덕 의원 “한중, 영원한 우호 관계로 발전했으면…”
    • 150년 동안 대를 이어 약속을 지키는 뱃사공
    • 시진핑 등 지도부, 중국인민항일전쟁 및 세계반파시즘전쟁 승리 75주년 기념 항전 열사 헌화식 참석
    • [특집 인터뷰] 도종환 의원 "한중, 어려울 때 서로 돕는 우애 키워야"
    •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국가 인증 K브랜드 중국에 많이 알려지길"
    • 학생들과 록밴드 결성한 산골학교 선생님…현실판 ‘코러스’ 재현
    • [한국 언니의 1분 vlog] ‘오피스족’의 요통, 어깨 결림? 전통 중의 추나요법으로 해결하자
    • [영상] 중국-유럽 열차: ‘실크로드 사절’
    • [영상] 친창: 현대의 노력으로 계승되는 고대 예술문화
    • [영상] 시안-중국항공항천업의 옥토
    • [특집 인터뷰] 권영세 의원 “세계 번영 위해 한중 관계 무엇보다 중요”
    • 대당불야성, 빛과 문화의 아름다움을 체험하다
    • [특집 인터뷰] 고민정 의원 “어려울 때 도와주는 친구가 진짜 친구”
    • [한국 언니의 특별한 vlog] ‘가오카오’편! 코로나19 속 ‘新가오카오’
인민망 소개|인민망 한국어판 소개| 피플닷컴 코리아(주) 소개|웹사이트 성명|광고안내|기사제보|제휴안내|고객센터

인민망 한국어판>>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