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망|인민망 한국채널
2021년04월26일 

[Why?] 역사 교과서 속 제갈량과 조조의 생김새가 닮은 이유

인민망 한국어판 kr@people.cn
14:54, March 19, 2018

[인민망 한국어판 3월 19일] 각종 문학•역사•철학 교과서를 펼치면 고대인들의 인물사진을 볼 수 있다. 한(漢)나라 무제, 유명한 신하와 충신, 재상 또는 문학가, 예술가 등등. 책 속의 초상화는 늘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게 닮았다. 요(堯)임금, 순(舜)임금, 은(殷)나라 왕, 주(周)나라 왕, 제갈량(諸葛亮)과 조조(曹操) 등등. 다른 시대에 살았던 수백 년을 뛰어넘은 신분이 다른 역사인물들이 모두 모자와 옷차림만 바뀌었을 뿐 같은 사람이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이들 그림 대부분이 명(明)나라 백과전서 ‘삼재도회(三才圖會)’에서 따온 것이기 때문이다.

황제 세 명의 모습이 매우 닮았다.

이 책 속에 등장하는 인물 초상이 어떻게 역사 교과서 속 인물의 이미지 원본이 되었을 뿐 아니라 현대 많은 고적출판물 중 제왕장상, 시인문학가들의 고정적인 모습으로 굳어지게 되었을까? 이렇게 고정된 모습이 시각적인 영상을 중시하는 현시대에 의미가 있을까?

▌백과전서는 민간에서 탄생했다.

‘삼재도설(三才圖說)’로도 불리는 ‘삼재도회’는 명나라 왕기(王圻)와 왕사의(王思義) 부자가 편찬한 것으로 1607년에 완성되었으며, 중국 최초의 글과 그림으로 구성된 과학 백과전서이고 총 108권으로 이루어졌으며, 기록한 사물에 대해 먼저 그림으로 나타내고 뒤에 논리적으로 설명해 글과 그림이 서로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이 책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가 세계의 모든 것임을 설명하고 있다.

톈쑹칭(田松靑) 상하이서화출판사 부편집장은 ‘삼재도회’ 중에는 많은 인물 화상(畵像)을 수록했고, 전설 중의 신농(神農), 복희(伏羲) 등 대신에서 역대 제왕중신과 문인의사(義士), 불교와 도교, 변방의 오랑캐, 나아가 ‘산해경(山海經)’ 속에 등장하는 신선과 요괴 등 총 596점이 실려 있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일부 도서는 일부 상상과 신화 색채를 추가해 학 또는 투구게 등을 실었고, 그중 일부 지도는 선교사가 가져온 외국 지도를 수정했다면서 ‘삼재도회’는 명나라 견직물에 그려진 도서류 가운데 뛰어나다고 소개했다.

‘삼재도회(三才圖會)’

‘삼재도회’는 당시 중국인의 천지만물에 대한 인식을 대표하지만 과학 발전에 한계가 있어 인식이 정확하지가 않고, 책이 만들어진 명나라 말기는 비교적 개방된 시대였다. 둥제(董捷) 중국미술대학 예술인문학원 교수는 개방적이었기 때문에 교육을 받을 기회가 수공업자나 더 낮은 계층의 사람들에게로 침투될 수 있었고, 상류계급에 의해 독점되지 않을 수 있었다면서 대중들은 이런 백과전서를 통해 더 많은 지식을 이해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인물초상의 닮음과 다름

톈쑹칭 부편집장은 인터뷰에서 중국화는 분위기를 중시하고 윤곽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닮았는지 닮지 않았는지 여부는 중시하지 않는데 초상화는 특히 더 그렇다면서 중요한 것은 그림을 그리는 화가의 마음속의 이미지이므로 인물화는 중국 문인화가의 주요 범위가 아니라고 말했다.

더욱이 ‘삼재도회’ 중의 초상화는 기본적으로 반신상이고, 화가의 작품이 아닌 당시 화공의 작품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고 설명했다.

‘삼재도회(三才圖會)’ 중의 인물화상

명나라 시대 화공은 은주(殷周), 선진(先秦), 당송(唐宋) 시대의 사람을 그렸다. 카메라 기술이 없는 시대에 최대의 문제는 당연히 참고로 삼을 만한 자료를 찾을 수 없어 전해지는 문자 자료에 의존해야만 한다는 점이었다. 둥제 교수는 사람들이 비교적 많이 아는 진시황(秦始皇)과 공자의 화상은 입으로 전해지는 지금까지도 그들의 원래 모습을 확정할 수 없다고 예를 들어 설명했다.

하지만 도연명(陶淵明), 장비(張飛), 사마천(司馬遷), 울지공(尉遲恭) 등의 화상은 비교적 선명한 인물 특징이 있다.

울지공과 진경(秦瓊)은 모두 ‘문신(門神)’으로 생김새가 위엄 있고 용맹스럽다. 역사학자 사마천의 운명은 비참한 편이어서 생김새를 파악하기가 쉽다. 도연명은 역대 문인 회화에 등장한 적이 있다. 장비, 관우 등 ‘삼국연의(三國演義)’에 나오는 인물들은 소설•목각•삽화에 등장한 적이 있다. 이들 인물들은 참고할 만한 모습이 있기에 ‘삼재도회’ 중에서도 약간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생김새 기록이 가장 부족한 사람은 보통 관원문인이다. 글로 표현된 것을 보면 고작해야 ‘사각형의 얼굴과 긴 수염’으로 묘사되어 있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은 개념화와 공식화를 통해 처리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삼재도회’ 중의 문신무장들은 역사가 인정한 정의로운 인물들이어서 조회할 자료가 없어 이들 인물들을 그릴 때 화공들은 오관(五官)의 묘사에 대해 ‘고정치’가 있다.

“‘삼재도회’의 뒷부분에는 사람들에게 그림을 어떻게 그리는지를 가르치는 것도 있고, 인물을 그리는 많은 공식, 한 사람의 얼굴형을 그리는 기준, 눈은 어떻게 그리는지의 화법 등이 있다. 가령 제왕의 눈은 특히 과장해서 그리는데 눈썹은 진하게, 눈초리는 위로 치켜 올라가게 형식화 한다”고 둥제 교수는 말했다.

‘삼재도회(三才圖會)’ 중 신체의 일부분을 어떻게 그리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시각적인 영상이 발달한 현시대에 고대 사람들이 아주 닮았음을 발견할 수 있다.

교과서에 나오는 중국 고대 문헌 출판물 중의 작가 화상도 ‘삼재도회’에서 따온 것이 많다. 현대 학생들이 시각적인 영상 시대에 진입해 매일 이미지 속에 살면서 각양각색의 이미지를 보고 교과서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사람들에 대해 비교해 보고 나서야 한나라와 당나라 시대 사람들이 모자만 바꿔 썼을 뿐 오관은 기본적으로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한다.

둥제 교수는 오늘날 교과서에 등장하는 역사인물들이 역사감을 유지하기 위해서 원래의 그림을 이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현대화 수단을 이용해 현대인의 이해를 추가하고, 신선하고 생동적인 수단을 이용해 다시 창작해야 하는지는 일종의 취사선택이라고 말했다.

톈쑹칭 부편집장은 앞서 인터넷을 풍미했던 ‘바쁜 두보(杜甫)’는 한 현대 화가의 작품으로 모델이 주변 사람이었던 것으로 전해진다고 말했다.

고대인을 그리는 화가들은 종종 주변 친구 또는 자신을 모델로 삼는다. 사극을 찍는 것처럼 닮고 닮지 않고는 사람들마다 견해가 다르므로 이 문제는 고민할 필요가 없다. (번역: 이인숙)

두보(杜甫)상과 작가 장자오허(蔣兆和) 선생 

원문 출처: 매일경제신문(每日經濟新聞) / 사진 출처: 신민만보(新民晚報)

문화 뉴스 더보기

출처: 인민망 한국어판  |  (Web editor: 實習生, 王秋雨)

인민망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최신뉴스

많이 본 기사 종합

칼럼·인터뷰

0 / 0

    • [동영상] 中 구이저우 묘족 손님맞이 풍습…‘직접 빚은 술로’
    • [동영상] 항저우 ‘아시안게임 3관’ 완공, 2개 ‘세계최대’ 달성
    • [동영상] 中 신형 푸싱호 스마트 고속열차 내부 모습 공개
    • [동영상] 봄나들이 가요! 항공 사진으로 보는 시후호의 풍경
    • [동영상] 중국 윈난 바오산, 보호종 뿔논병아리 ‘짝짓기 춤’ 진풍경 포착
    • [동영상] 기계화! 고효율! 신장 220만 묘 기계 면화채집 풍경
    • [동영상] 장자커우 동계올림픽 경기장 완공
    • [동영상] 충칭 스주, ‘날카로운 칼날’ 같은 고속도로 덕에 유명해진 마을
    • 양회에서 화제가 된 ‘귀여운 고양이’…치롄산국가공원의 ‘스타’들
    • 멸종위기 붉은목코뿔새 윈난 잉장서 나타나
    • [동영상] 중국의 2035를 수놓다
    • 中 텅충 저명 옥 공예사의 비취 감별법
    • 징강아오, 후선광 구간 자기부상열차 규획 공개…광저우에서 베이징까지 3.3시간
    • 박병석 한국 국회의장 인민망 신년 인사
    • 정세균 한국 국무총리 인민망 신년 인사
    • 양승조 한국 충남도지사 인민망 신년 인사
    • 이재명 경기도지사 인민망 신년 인사
    • 도종환 국회의원 인민망 신년 인사
    • 몽환의 베이하이습지, ‘수상 초원’
    • 김준형 국립외교원장 “한중, 미래 같이 가야 할 동반자”
    • 변성 텅충, 극지 등대 생태 보고
    • [한국언니 in 베이징] ‘고궁 비밀탐구 편’ ⑤: 건청문 앞의 귀여운 황금사자
    • [영상] 하드코어 에너지! 중국 로켓군 2021년 모습
    • 1인 시험장! 다롄 코로나19 무증상 감염자 석사시험 응시
    • 녹색 발전 이념 이행, ‘공원 도시’ 쑤이닝
    • 싼장위안국가공원 고화질 파노라마 영상 최초 발표
    • 20개 숫자로 되새겨 보는 2020
    • 원저우, ‘창업 도시’의 ‘비즈니스 성공 비결’ 탐구
    • 용문석굴, 중국 불교 석굴 예술의 최고봉
    • [특집 인터뷰] 안민석 의원 “한중, 협력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해야”
    • 손 끝의 비물질문화유산…중국전통문화의 보물 ‘구수(甌繡)’
    • ‘도시 이야기’ 언스, 다채로운 풍경과 걸출한 인재 배출지
    • [한국 언니 in CIIE] 비행 운전, “나는” 순시선…직접 체험해 보는건 어떨까?
    • [한국 언니 in CIIE] "제2화" 미래에는 어떤 자동차 탈까? 바로 여기 다 모여있다!
    • [한국 언니 in CIIE] "제1화" 하이테크놀로지 의료 신기 탐구
    • [한국 언니 in CIIE] 제3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 개막 임박…현장 속으로
    • 양충모 새만금개발청장 “새만금, 한국의 미래 중심지로 개발할 것”
    • 쓰촨 쑤이닝의 정취…천쯔앙의 고향을 탐방하다
    • [영상] 中 자율주행 택시 체험 현장…스마트생활 시대 도래
    • 경탄! 중국 가을 아름다움의 끝은 어디일까?
    • 화수피 문화, 자연과 예술의 아름다운 융합
    • [특집 인터뷰] 문진석 의원 “설중송탄의 한중 관계 더욱 발전해야”
    • 中 칭하이, 친환경 에너지 발전 고지
    • 평화로운 고향으로 귀향한 영웅들
    • 제7차 중국인민지원군 열사 유해 안장식
    • [특집 인터뷰] 우상호 의원 “동북아 평화 유지 위해 중국과 더욱 긴밀해져야”
    • [특집 인터뷰] 윤영덕 의원 “한중, 영원한 우호 관계로 발전했으면…”
    • 150년 동안 대를 이어 약속을 지키는 뱃사공
    • 시진핑 등 지도부, 중국인민항일전쟁 및 세계반파시즘전쟁 승리 75주년 기념 항전 열사 헌화식 참석
    • [특집 인터뷰] 도종환 의원 "한중, 어려울 때 서로 돕는 우애 키워야"
    •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국가 인증 K브랜드 중국에 많이 알려지길"
    • 학생들과 록밴드 결성한 산골학교 선생님…현실판 ‘코러스’ 재현
    • [한국 언니의 1분 vlog] ‘오피스족’의 요통, 어깨 결림? 전통 중의 추나요법으로 해결하자
    • [영상] 중국-유럽 열차: ‘실크로드 사절’
    • [영상] 친창: 현대의 노력으로 계승되는 고대 예술문화
    • [영상] 시안-중국항공항천업의 옥토
    • [특집 인터뷰] 권영세 의원 “세계 번영 위해 한중 관계 무엇보다 중요”
    • 대당불야성, 빛과 문화의 아름다움을 체험하다
    • [특집 인터뷰] 고민정 의원 “어려울 때 도와주는 친구가 진짜 친구”
    • [한국 언니의 특별한 vlog] ‘가오카오’편! 코로나19 속 ‘新가오카오’
인민망 소개|인민망 한국어판 소개| 피플닷컴 코리아(주) 소개|웹사이트 성명|광고안내|기사제보|제휴안내|고객센터

인민망 한국어판>>문화